Page 27 -
P. 27

하다 pudique’는 말이었다. 그녀는 형부에 대해 말할 때 “그 앞에서

                    발가벗는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는 식으로 말했다.

                      자궁을 잃어버렸다는 망상은 그녀가 자위를 했던 경험과 관련
                    이 있는 듯했다.

                      “그녀는 자위를 하는 것에 크게 죄책감을 느꼈고 불임이 될지
                    도 모른다고 생각했지요.”

                      코언은 망상의 특수성이 개인적・자전적 스토리, 그리고 문화

                    적 맥락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특히 문화적 맥락과의 연관성을
                    설명하기 위해 그는 1990년대에 진료실을 찾아온 쉰다섯 살 남성
                                   16
                    의 사례를 꺼냈다.  코언이 코타르증후군이라고 진단한 환자였
                    다. 그 남자의 망상 중 하나는 사실이 아닌데도 자신이 후천성면

                    역결핍증후군 AIDS에 걸렸다고 생각하는 것이었다. 그는 당시 양

                    극성 장애를 앓고 있었는데, 조증 단계에서 지나치게 성욕을 느끼
                    는 것에 죄책감을 느꼈다. 코언은 이것이 그의 에이즈 망상과 관련

                    있다고 생각했다. 1970년대 이전에는 코타르 환자들의 심기망상

                    hypochondriacal delusion이 당대의 문화적 재앙이었던 매독으로 나타났
                    다. 그 시절에는 누군가가 성병에 걸리면 거의 매독이라고 믿었다.

                    흥미롭게도 그 남자는 젊은 시절 군대에 있을 때 실제로 매독에 걸
                    렸다(코언은 그에게 항체가 있는지 검사했다). 하지만 그로부터

                    몇십 년 뒤 코타르증후군을 앓으면서 그의 망상은 매독이 아니라
                                                             17
                    에이즈로 바뀌었다. “죄지은 몸에 신이 내린 형벌” 인 매독이 시
                    대에 맞게 에이즈로 대체된 것이다(이후 ‘매독’이라는 단어는 더





                    1장 | 나는 죽었다고 말하는 남자                                 27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