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 -
P. 23

생존 전략은 한 사람이 어린 시절 살아남기 위해 내린 중요한
                   결정이자 가장 큰 자산이다. 여기에는 문제가 없다. 문제는 그

                   전략이 현재 삶에 더 이상 맞지 않는다는 점이다. 맞지 않아서

                   문제가 생기면 바꿔야만 한다.’
                     대인과정이론은 모두가 건강한 개인이라고 말한다. 다만 우

                   리가 대인 관계에서 방황하는 이유는 환경은 바뀌었는데 전략
                   을 변경하지 않기 때문이다. 과거에 효과적이었던 대인 관계

                   전략이 지금 삶에는 적용되지 않고, 과거의 미덕이 잔혹한 칼
                   날이 되어 지금 이 순간 나를 곤혹스럽게 한다.

                     미국의 심리학자 해리 스택 설리반Harry Stack Sullivan은 어린 시

                   절 부모와 반복적으로 겪는 상호작용이 인격과 자아를 형성한
                   다고 보았다. 사례 속 여성은 불안을 유발하는 부모-자식의 상

                   호작용 속에서 인격을 형성하고 대인 관계 패턴도 구축했다.
                   상대방의 비위를 맞추면서 자신을 억압하는 행동은 어린 시절

                   부모의 암묵적 용인 이후로 쭉 유지되었고, 그 안에서 그녀는
                   가족의 사랑을 지킬 수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쓸모없는 전략

                   이 되었음이 분명하다. 이런 태도 때문에 삶에서 주도권을 잃

                   고 남편과 자녀의 신뢰마저도 잃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타인의
                   과도한 간섭이 그녀가 일상에서 새로이 마주한 문제가 되었다.

                   그런데도 자기 의견을 말하지 않으면 삶은 계속해서 지배당할
                   테고 결국 가족의 사랑을 잃을 것이다.









                   1장  상처받은 아이는 자라서 어떤 관계 문제를 겪는가                    31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