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P. 17

의 행동과 성취를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어느 연구는 아이가 명확한 가치 목표를 갖고 있을 때 더 적극적인

                    자아 인식과 기대감이 생기고 불량 행위는 줄어들며 성인으로 가는
                    과도기가 더 평온해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아이의 발전이 성

                    격 유형 검사상의 특징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실제로 개인의 기대감와 행동이 성격보다 삶에 더 큰 영향을 끼친다
                    는 사실이 다수의 실증적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스트레스와 관계 맺기



                        스트레스를 받고 싶어 하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대부분은

                    스트레스가 주는 불쾌감을 싫어한다. 하지만 스트레스는 삶을 전진시

                    키는 동력이고 불쾌감은 성장 과정에서 반드시 나타나는 부산물이다.
                    그래서 내적 소모를 멈추려면 스트레스와 다시 관계 맺어야 한다.

                        스트레스와 관계 맺는 여러 가지 기술이 있는데 안타깝게도 심
                    리학 연구가 진보하고 발전하면서 한때 효과적이라고 여겨졌던 많은

                    기술의 무익한 일면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즉각적으로 하소연하는 게 좋을까?

                        많은 나라의 정부와 단체에서 재난 발생 이후 심리 지원 과정 중

                    스트레스를 발산하는 치료가 효과적이라고 확신한다. 하지만 몇몇
                    심리학 연구에 따르면 이 방법은 효과가 좋지 않다. 효과가 전혀 없





                    하루 한 번, 심리학 공부를 시작했다                                   029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