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P. 16

1장 지나친 단순화                                              35





                    용이 불일치해도 나중에는 비슷한 정도로 약물을 사용할 것이다. 하지
                    만 연구 결과는 그렇지 않았다. 마리화나를 사용한 쪽은 사용하지 않은

                    쪽에 비해 약물 사용, 알코올 의존, 약물남용 또는 약물의존의 위험이
                    2.1~5.2배 높았다. 적어도 그 연구에 따르면 유전적 요인은 약물 사용

                    을 설명할 수 없다. 따라서 입문 효과 쪽에 힘이 실린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니다. 국립약물남용연구소의 수전 와이스는

                    이렇게 말했다. “쌍둥이 중 마리화나를 피웠던 사람은 과연 마리화나

                    때문에 다른 약물에도 손을 댔을까? 쌍둥이 중 한 명은 약물을 사용하
                    고 다른 한 명은 사용하지 않은 이유가 뭘까? 나쁜 친구들과 어울렸을

                    까? 우리는 답을 알 수 없다. 이런 의문을 완전히 풀기란 아주 어렵다.
                    여러 요인이 함께 작용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             17

                       아니나 다를까 쌍둥이 연구의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들이 나
                    왔다. 몇 년 후 《발달과 정신병리학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에 발표된

                    한 연구는 이란성 쌍둥이에 한해서 첫 번째 연구와 똑같은 연관성을 발

                    견했다. 이 연구에서 일란성 쌍둥이들은 어린 시절에 약물에 노출됐는
                    지 여부에 상관없이 비슷한 약물 사용 패턴을 따랐지만 이란성 쌍둥이

                    들은 달랐다. 조기에 약물을 사용한 쪽은 입문 효과를 경험하는 것처럼
                    보였다. 이란성 쌍둥이는 일란성 쌍둥이와 달리 DNA를 공유하지 않

                    는다. 따라서 이 결과는 첫 번째 연구와 정반대로 유전이 약물 사용 패
                    턴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암시했다. 연구팀은 이렇게 결론 내렸다.

                    “약물 입문 효과라는 개념은 유전적 요인의 영향을 받는 발달 궤도로

                    생각하는 편이 나을 것이다.”        18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