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2 -
P. 22
새와 행동에 관해 알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 그리고는 자기의 두 눈에
보이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세 번째 학생은 곤충
에 별다른 관심이 없었고 단지 수업에 필요하기 때문에 책을 읽기 시작
했다. 그런데 막상 책을 펼치고 나서는 첫 문단부터 푹 빠져들기 시작했
다. 그녀는 개미들이 그렇게 복잡한 사회를 이루고 사는 걸 처음 알았다.
이제 그녀는 더 알고 싶다는 욕구를 느낀다. 첫 번째 학생은 탐색은 하지
만 호기심이 약하다. 두 번째 학생은 자신이 이미 알고 있는 것들 때문
에 호기심을 느낀다. 그녀는 자신의 지식에 빈틈이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그 공백을 책으로 메우려 한다. 세 번째 학생은 개미가 사회성이 없
는 단순한 생물이라는 자신의 생각이 모순된 정보에 의해 깨졌기 때문
에 호기심을 느낀다. 이것은 세 학생이 처음에 느낀 놀라움을 둘러싼 상
황일 뿐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더 큰 차이가 나타날지도 모른다.
사람들의 인터넷 활용 행태에 관한 연구는 특정 종류의 탐색을 추적
하는 것에 대한 새로운 길을 열어준다. 어른들이 여행을 떠나기 위해, 혹
은 단순히 흥미로운 주제에 관한 지식을 얻기 위해 정보를 탐색하는 행
동은 호기심 많은 어린 아이의 탐색 행동과 유사하기 때문이다. 12개월
짜리 아기가 목욕통 안에서 장난감을 가지고 놀고 있다고 상상해보자.
고무 오리는 물에 둥둥 뜬다. 플라스틱 컵도 물에 뜬다. 아기는 가장자리
로 손을 뻗어 샴푸가 들어 있는 플라스틱 통을 잡고 그것도 물에 담가본
다. 샴푸통이 목욕통 바닥으로 가라앉자 아기는 놀랍다는 눈으로 쳐다
본다. 예상치 못한 일이기 때문이다. 아기는 목욕통 바닥에 손을 집어넣
어 샴푸통을 꺼냈다가 다시 물에 띄워본다. 샴푸통이 다시 가라앉을 때
30 호기심의 두 얼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