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P. 21

이 때문이다. 프로이트는 환경, 상황, 목적에 따라 다양한 방법을 조합해

               읽는다는 사실을 꿰뚫어본 시대를 앞서간 인물이다. 우리는 고치며 읽

               기 proof reading , 깊이 읽기 deep reading , 소리 내어 읽기 reading aloud 라는 세 가지
               방법을 수시로 바꿔가며 활용한다. 읽기라는 한 가지 용어가 이 서로 다

               른 세 가지 읽기 방법을 수월하게 아우를 수 있다면 다른 읽기 방법이라

               고 왜 포함할 수 없겠는가?

                   교육심리학자들은 오래전부터 읽기의 정의를 확장해 다양한 읽기
               방법을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심리언어학자 프랭크 스미스                     Frank

               Smith 는 읽기를 한 가지로 정의하는 일은 무의미하다고 주장했다. 읽기의

                                                               21
               의미를 둘러싼 논쟁은 사실 언어에 대한 논쟁이기 때문이다.  ‘텍스트를
               이해할 수 있다’ ‘활자의 의미를 파악한다’ 같은 평범한 표현조차 독자가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신체적ㆍ정신적으로 어떤 활동을 하는지는 설
                                                         22
               명하지 않은 채 읽기 과정의 한 단면만을 포착한다.  물론 모든 사람이
               똑같은 방식으로 읽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 모호성은 전략일 수도 있다.

               이 관점의 반대편에는 모든 독자는 인지 구조가 똑같고 비슷한 방식으로
               읽는다고 추정한 인지심리학자 샐리 앤드루스              Sally Andrews 의 ‘균일성 가정

                                   23
               uniformity assumption ’이 있다.  한 가지 방식으로 읽는 데 익숙한 사람은 이
               책에 등장하는 다양한 읽기 형태를 인정하지 않을 것이다.

                   문학평론가도 다양한 읽기 방식에 주목한다. 이들은 읽기 과정에서

               자세히 읽기, 멀리서 읽기, 느리게 읽기, 교차 읽기            hyper reading (긴 텍스트를
               분할하고 훑어보고 재조합하며 읽는 독자 주도의 읽기 방식‐옮긴이) 등 다양한 해




                                                들어가며: 감춰졌던 ‘읽기’의 세계를 찾아서   21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