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 040111
P. 13

니다. 1973년 사회심리학자 에리히 프롬Erich Fromm이 “생명과 살

                         아 있는 모든 것에 대한 열정적인 사랑으로, 사람이든 식물이든 생
                         각이든 사회집단이든 더 성장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정의하면

                         서 처음 사용했다.   8

                               윌슨은 바이오필리아를 더 자세하게 풀어서 인간이 자연
                         계에 살면서 “살아 있는 다른 유기체에 갖는 본능적이고 정서적인

                         유대감”이자 생존 이상의 좀 더 광범위한 충만감을 채워주는 진화

                                              9
                         적 적응 형태라고 정의한다.  바이오필리아 유전자가 발견된 것은
                         아니지만 지금도 우리 뇌는 자연의 자극에 강렬하고 본능적으로

                         반응한다. 얄궂게도 생명공포증이나 공포 연구에서 밝혀진 사실

                         이다. 흥미로운 예로 뱀을 들 수 있다! 우리 뇌의 시각피질은 뱀의
                         형태와 움직임을 다른 것보다 더 빠르게 인식한다. 캘리포니아대

                         학교의 인류학자 린 이즈벨Lynne Isbell에 따르면 뱀은 인간의 고도
                         로 섬세한 깊이지각을 진화시켰다. 이즈벨은 인간, 유인원, 원숭이

                         에게만 존재하는 시각계인 뇌의 시상침영역에서 특수 뉴런을 발

                         견했다. 독사가 우글거리는 지역에서 진화한 영장류는 그렇지 않
                         은 영장류에 비해 시각이 더 발달했다.

                               하지만 생존하려면 해로운 대상을 피하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최상의 음식, 은신처, 그 밖에 다른 자원도 구해야 한다. 특

                         정 거주지에서 행복 호르몬이 분비되고 뇌가 뱀과 거미를 무서워






                                                                 1. 바이오필리아 효과  39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