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9 -
P. 19
‘리스크와 리턴’, ‘긴장감과 성취감’을 <슈퍼 마리오> 시리즈에서는 ‘가속하는 이동 액션’으로 실현
했습니다. 특히 B 대시를 사용하면 마리오의 이동 속도가 빨라지므로, 빠르게 다가오는 ‘구덩이’
앞에서 ‘멈출 것인지, 점프해서 뛰어넘을 것인지’ 순간적으로 판단해서 ‘선택’해야만 합니다. 리스
크와 함께 긴장감도 점점 더 커집니다. 마리오에서는 B 대시를 사용하면 사용할수록 점프에 성공
하는 타이밍이 짧아지므로, 실패 위험성이 커집니다. 다시 말해 리스크와 리턴 간에 ‘상관관계’가
커지는 것입니다(그림 1.1.6).
그림 1.1.6 B 대시와 리스크와 리턴의 관계
성공!
일반 대시
리스크·긴장감(소) 리턴·성취감(소)
1초 2초 3초 4초 5초 6초 7초
대성공!
B 대시
리스크·긴장감(대) 리턴·성취감(대)
결국 플레이어가 B 버튼을 누르는 것은 눈앞의 도전에 대해 스스로 리스크와 리턴을 끌어올리는
행동이라고 할 수 있겠지요. 포커판에서 판돈을 올리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므로 같은 장애물(도전)이라도 ‘아까는 B 대시로 점프에 실패했으니 이번에는 걸어서 신중하
게 넘어 보자’ 또는 ‘익숙해졌으니 B 대시로 다시 도전해 봐야지’와 같은 방식으로, 몇 번이든 새로
운 기분으로 플레이할 수 있습니다.
즉, 플레이어 자신이 ‘새로운 도전(챌린지)’을 찾아낼 수 있는 것입니다.
024
3D 게임을 흥미롭게 하는 기술(본문출력용)0510.indb 24 2018-05-10 오전 9:25: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