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P. 17
을 게을리하는 팀원은 많지 않으며, 팀의 일원으로서 받는 이익이 무
임승차자가 가져오는 손실보다 더 크다. 홀푸드는 명확한 실적 평가
기준과 팀 단위의 보상 체계로 이 문제에 대처한다. 또한 팀원 간 피드
백 등과 같은 비공식적인 수단을 활용해 모두가 팀의 성공에 기여할
가능성을 높인다. 홀푸드의 신입 직원들은 자신들이 단순한 고용인이
아니며 직속 상관에게 잘 보이기만 하면 되는 존재가 아니라는 사실을
짧은 시간 내에 학습한다. 그러고 나면 팀의 인센티브와 명성을 목표
로 팀원 모두와 함께 일하게 된다. 홀푸드는 팀 제도가 회사의 어떤 면
에 기여하는지 그리고 어떻게 잘못될 수 있는지를 누구보다 잘 이해하
는 기업이다.
세 번째는 팀을 아주 쉽고 편안하게 굴러가는 체제라고 생각하는 것
이다. 홀푸드를 포함한 몇몇 기업은 직원 친화적인 업무 환경의 장점
을 강조함으로써 기업의 신념을 잘 보여준다. 이들 기업의 운영 방식
에서 좋은 측면만 조명하는 신문기사나 책들이 많다. 많은 매체가 특
이한 업무 환경 (잘 꾸며진 사무실, 팀워크 향상 이벤트 등)이나 훌륭한 직원
복지 (무료 간식과 식사, 직원 헬스센터, 마사지 서비스 등) 같은 좋은 면만 언
급한다. 직원 친화적인 분위기를 조명하면서 정작 역량이 뛰어난 인재
들, 헌신적으로 노력하는 직원들, 자기 자신은 물론 동료들이 모두 높
은 수준의 성과를 달성하도록 기여하는 직원들의 업무 집중도에 관한
부분은 간과하곤 한다. 잘 조직된 팀은 팀원들이 팀과 동료에게 기여
하고 싶다는 생각이 들도록 서로 압박 수준을 높여나간다. 함께 일하
는 동료의 실적이 자기 자신에게 달렸다는 사실을 인지하면, 단순히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