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 -
P. 23

가치 있는 일이지만 육체노동 혹은 실업만이 그들의 미래라고 생각하거

                   나 불필요하게 꿈이 억압된 경우가 많다.

                     이 학생들은 무의식적으로 미래의 자신을 제한한다. 그리고 이렇게

                   편협하고 부정적인 모습은 뇌에 쉽게 자리 잡는다. 오이저먼의 말대로

                   이 학생들은 교사에게 학업에 도움이 되는 방법이나 습관을 묻고 도움
                   을 요청해야 한다. 하지만 이들은 종종 그런 행동이 인종 정체성과 모

                   순된다고 느끼며 선생님께 도움을 요청하는 일은 백인 아이들이나 하

                   는 짓이라고 생각한다. 심지어 학업 성취도가 높은 학생들조차 미래에

                   가능한 자신의 모습이 인종 정체성과 모순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

                   다. 원래 자신은 성적이 낮은 부류 혹은 자퇴하는 부류에 어울린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오이저먼과 동료들은 이 문제를 연구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디트로
                   이트 지역의 저소득층에 속하는 8학년(한국의 경우 중학교 2학년) 학생

                   들의 학업 성취에 도움이 되는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프로그램은

                   총 11회차로 구성되었고 각 회차는 조회 시간에 약 한 시간씩 진행되었

                   다. 실험 대상 중 통제집단 학생들은 조회만 참석하게 했다.

                     이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사례를 몇 가지 소개하자면, 일단 첫 시간

                   에 학생들은 서로 대화를 나눈 뒤 다른 학생들에게 자신과 대화한 학

                   생을 소개한다. 소개는 주로 우수한 성적으로 졸업할 수 있는 능력과

                   기술에 초점을 둔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이 친구는 마누엘이라고

                   해. 마누엘은 매우 계획적이고 매사에 긍정적이야.”
                     두 번째 시간에는 학생들이 미래의 자기 모습을 닮은 어른의 사진을





                                                STEP 1•무력한 삶에서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69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