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P. 25
대하는 경우도 적었다. 학생들은 학업에 더욱 주도적이었고 예습과 복
습도 더 많이 했으며 어려운 문제에 매달려 해결하려는 시도도 더 많았
다. 시간이 지나면서 통제집단과 실험집단 학생들 사이의 ‘가능한 나’는
점점 더 크게 차이가 났다.
이 연구는 자신이 생각하는 자기 모습은 정확하지 않다는 사실을 보
여준다. 학생들은 가능한 자신의 모습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개발되는
지, 자신의 이야기를 어떻게 만드느냐에 따라 행동의 결과가 달라지는
지를 보여주었다. 이런 학습 프로그램이 없었다면 학생들은 수업을 빼
먹거나, 낮은 성적을 받거나, 자퇴하는 내용의 이야기로 이야기를 채웠
을지 모른다. 하지만 프로그램 덕분에 학생들은 성공에 한층 더 가까
워졌다.
생각도 근육처럼 강화할 수 있다
코카콜라 하면 가장 먼저 어떤 이미지가 떠오르는가? 어떤 색이 떠
오르는가? 코카콜라를 떠올릴 때 특별히 생각나는 날이나 기념일이 있
는가? 아니면 그저 설탕 덩어리라는 생각만 드는가?
코카콜라는 그동안 소비자의 머릿속에 ‘빨간색’, ‘크리스마스’, ‘짜릿
함’ 같은 이미지를 심어주기 위해 광고에 엄청난 돈을 쏟아부었다. 물론
콜라는 빨간색이 아니다. 그리고 콜라와 연관된 휴가나 명절은 없다.
하지만 코카콜라 하면 우리 모두가 쉽게 떠올리는 개념들이 있다. 이런
STEP 1•무력한 삶에서 어떻게 벗어날 것인가 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