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P. 11
눌 수 있었다. 대조군인 2층 노인들에게도 잘 정돈된 방과 식물이 배
정됐고 영화 관람 시간도 있었지만 이 모든 것은 양로원 측에서 정한
것이지 이들에게는 선택권이 없었다. 식물 역시 직원들이 책임지고
돌봤기에 직접 책임질 필요가 없었다.
3주간의 실험 결과 연구진은 두 그룹 사이의 현격한 차이를 발
견했다. 4층 노인들은 질문지에 기분이 아주 좋고 활력이 넘친다고
대답했다. 타인과 더 많은 접촉을 시도했고 영화를 보러 가겠다고 선
택한 경우도 훨씬 더 많았다. 실험 상황을 모르고 있었던 간호사들
역시 4층 노인들의 행복감과 활력은 93퍼센트 상승했으나 2층 노인
들의 경우 21퍼센트만이 적극적인 변화를 보였다고 평가했다.
랭어와 로딘은 자기 결정권과 통제력이 삶의 질을 올리고 생활
태도를 적극적으로 변화시키는 데 중요하다고 봤다.
인본주의 심리학의 대가 에이브러햄 해럴드 매슬로 Abraham Harold
Maslow 는 안전이 인간의 기본 욕구 중 하나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통제
력이 바로 이 안전의 토대다. 모든 것이 잘 통제되고 있다고 느낄 때
우리는 자신감과 에너지로 가득 차는 느낌을 받고 모든 도전에 가뿐
하게 응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모든 것이 통제 불능이라고 느끼면
슬픔, 절망에 쉽게 빠지고 타인 의미 없는 눈빛 하나도 제대로 마주
할 수 없게 된다.
하루 한 번, 심리학 공부를 시작했다 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