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P. 16

잠깐만요
                                                고려의 정치 제도와 행정 조직
                                                                          재신
                                                                중서문하성                       천리 장성
                                                  왕                       낭사
                                                                 상서성      이부            안북도호부
                                                      도병마사  식목도감          병부              북계
                                                                                               안변도호부  동해
                                                                          호부           서경
                                                                                          황주목            전기의 3경
                                                                          형부
                                                                                        서해도
                                                      ( 국방상  ( 법제와        예부                경기   교주도
                                                                                       안서도호부
                                                                          공부                 개경
                                                                                               남경
                                                        중요    격식                                   동계
                                                                          추밀                   광주목
                                                                 중추원              후기의 3경     양광도   충주목
                                                        사항    제정
                                                                          승선
                                                                                             청주목
                                                                                                   상주목
                                                        논의  )    어사대                  황해
                                                                                           전주목    경상도
                                                                                          (안남도호부)    동경
                                                                 삼사                          전라도
                                                      )
                                                                                                   진주목
                                                                                            나주목
                                                                      재상  대간
                                                고려의 중앙 정치 제도
                                                                                           탐라          수도  도호부
                                                                                                       8목  3경
                                                                                 고려의 지방 행정 조직
                                                고려의 지방 행정 조직의 특징
                                                • ‌‌이원적 체제(도: 안찰사, 계: 병마사)
                                                • 향리 세력 강력(호족의 후예)
                                                • ‌‌일부 군현에 수령 파견(속현 존재)
                                                • 향, 소, 부곡 존재
                                                   조선은 전국을 8도로 나누고 모든 군·현에 관리를 파견함으로써 중앙 집권을 강화하
                                               였다. 따라서 고려 시대에 존재했던 향·소·부곡과 같은 특수 행정 구역은 모두 소멸
                                               하였다.

                   수령 7사(지방관이 힘써야 할 일)           지방에 파견된 관리를 수령이라 하였는데, 수령은 지방의 행정·사법·군사권을 행사
                 1. 농업을 발전시킬 것                 하고 행정 실무를 보좌하는 세습적 아전인 향리의 도움을 받았다. 정부는 수령을 지
                 2. 유교 경전 등의 교육을 진흥할 것
                                               휘, 감독하기 위해 8도에 관찰사를 파견하였으며, 수시로 암행어사를 파견하여 수령
                 3. 재판을 바르고 간결하게 할 것
                 4. 간사하고 교활한 무리를 제거할 것         을 감찰하기도 하였다.
                 5. ‌‌때맞추어 군사 훈련을 실시하고 군기

                  를 엄정히 할 것                      한편 향촌에 거주하는 양반들은 자치기구인 유향소를 만들어 수령의 자문에 응하고
                 6. 백성을 편히 하고 호구를 늘일 것         향리를 감찰하면서 백성을 교화하였다. 정부는 서울에 경재소를 설치하고 유향소와
                 7. 부역을 공평하고 균등하게 부과할 것
                                               정부 사이의 연락 기능을 맡겨 유향소를 중앙에서 통제하였다.



                                             4. 군역 제도와 군사 조직

                                                   조선에서 16세 이상 60세 이하의 모든 양인 남자는 군역의 의무를 갖고 있었다(양인
                                               개병제). 그들은 현역 군인인 정군과 정군의 경제적 비용을 부담하는 보인(봉족)으로
                                               편성되었다. 정군은 서울에서 근무하거나 국경 요충지에 배속되어 일정 기간을 두고
                                               교대로 복무하였으며, 복무 기간에 따라 품계를 받기도 하였다.
                                                   군사 조직은 중앙군과 지방군으로 조직되었다. 중앙군은 궁궐과 수도를 수비하는 5위
                 조선 전기의 중앙 군제로서 의흥위, 용양위, 호
                 분위, 충좌위, 충무위를 두고, 한 위(衛)를 다섯   가 있었다. 5위는 정군을 중심으로 직업 군인인 갑사나 특수병으로 구성되었다.
                 부(部), 한 부를 네 통(統)으로 나누어, 전국의
                 군사를 모두 여기에 속하게 하였다.               지방군은 건국 초기에 국방상의 요지인 영이나 진에 소속되어 복무하였으므로 영진군
                                               으로 불렸는데, 육군 부대인 병영과 수군 부대인 수영으로 구성되었다. 세조 이후에는
                                               진관 체제를 시행하여 각 도에 파견된 병마절도사가 관할 지역의 군대를 장악하였고,
                 지역 단위의 방어 체제로 각 도에 한두 개의 병
                 영을 두고 그 아래 몇 개의 거진을 설치하여 거    병영 아래에 몇 개의 거진을 설치하여 거진의 수령이 그 지역 군대를 통제하도록 하
                 진의 수령이 지역 군대를 통제하는 체제이다.
                                               였다.



                 152   다섯 번째 마당 ː 조선의 성립과 발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