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3 -
P. 13

에는 주먹 도끼나
                                                                                                                                         에는 주먹 도끼나
                                                                                                                                         시대에는
                                                                                                                                                            돌
                                                                                                                                         시대에는 간석기로
                                                                                                                                           신         신      돌
                                                                                                                                         시대에는 간석기로
                                                                                                                                                                   만든 치레걸이
                                                                                                                                                     신
                                                                                                                                          만든 치레걸이
                        1453        1485
                                                                                                                                                  신
                       계유정란       경국대전 반포

                                                                                                                                         신앙 도
                                                                                                                                          팔
                        꼭 알아야 할 키워드(30회 ~ 46회)
                                                                                                                                                                                                                                            천
                                                                                                                                                dl
                          5회                   5회                  5회                  5회
                                 3회     3회           3회     3회            3회     4회           4회     2회     3회
                                                                                                                                         (문
                         정도전    태조    왕자의 난   태종   6조 직계제  신문고    세종     세조    사헌부    홍문관    서경권     8도    수령
                                이성계                                                                          최
                                                                                                                                         ) 은
                                                             6조에서 올라오는 모든 일을 의정부에서 논의한 다음, 합의된
                                                             사항을 국왕에게 올려 결재를 받는 형태의 국정 운영 방식이다.

                         왕권과 경제가 안정된 가운데 즉위한 세종은 의정부 서사제  를 시행하여 의정부의 권                          의정부 서사제
                     한을 확대하면서도 인사권과 군사권은 직접 행사하여 왕권과 신권의 조화를 추구하였                                         국왕
                     다. 또한 세종은 집현전을 설치하여 뛰어난 학자들을 배출하였으며, 훈민정음을 창제                              재가                  건의
                     하였다. 청백리 재상을 등용하여 깨끗한 정치를 실현하였고 이종무로 하여금 쓰시마                                         의정부
                     섬(대마도)을 정벌하게 하고 최윤덕, 김종서를 보내 4군과 6진을 개척하였다.                                명령                  보고
                                                                                                           6조
                         문종이 일찍 죽고 단종이 즉위하면서 왕권이 약화되고 재상들의 권한이 커지자 세종
                     의 둘째 아들인 수양 대군은 계유정난을 일으켜 왕위에 즉위하였다(세조). 이후 강력한

                     왕권 행사를 위해 6조 직계제  를 시행하고, 집현전을 폐지하였으며 경연을 중단하였                              6조 직계제
                     고, 경제적으로는 과전법을 고쳐 현직 관리에게만 수조권을 주는 직전법을 시행하였                                         국왕
                     다. 또한 왕권 강화 과정에서 불만을 품은 이시애의 난을 진압하기도 하였다.
                                                       임금에게 유학의 경서를 강론하고, 이와 더불어                명령        의정부       보고
                                                       신하들과 국정을 협의하던 일이다.
                         성종은 조선 왕조의 기본 법전인 ‘경국대전’을 완성·반포하였다. 이어 집현전을 계승
                                                                                                           6조
                     한 홍문관을 설치하여 모든 관원에게 경연관을 겸하게 하였으며, 김종직을 필두로 사
                     림을 중용하여 훈구 대신들을 견제하고자 하였다.





                        사료 읽기   조선의 건국과 유교 정치 실현
                       ● 태조 즉위

                        배극렴 등이 왕위에 오르기를 권고하자 태조는 “예로부터 제왕의 흥기(興起)는 천명이 있지 않
                       으면 불가하다. 나는 실로 부덕한 사람인데 어찌 감히 왕위를 감당하겠는가?”라며 결국 불응하
                       였다. 신하들이 왕위에 오르기를 거듭 권하니 마침내 태조가 즉위하였다.                 - 『태조실록』 -

                       ● 태조와 경연
                        간관이 상소하기를 “군주의 학문은 한갓 외우고 설명하는 것만이 아닙니다. 날마다 선비를 맞

                       이하여 강론을 듣는 까닭은 첫째, 어진 사대부를 만나는 시간을 늘려 그 덕성을 배우려는 것이
                       고, 둘째, 환관 및 궁첩과 친하게 지내는 시간을 줄여 게으름에서 떨쳐 일어나려는 것입니다.

                       …… 삼가 원하옵건대, 전하께서는 날마다 경연을 여시어 『대학』을 가져와 강론하게 하소서.” 하
                       니, 임금이 이를 윤허하였다.                                        - 『태조실록』 -

                       ● 태종의 세자 책봉
                        하륜 등이 청하기를, “정몽주의 난에 만일 정안공(靖安公)이 없었다면 큰 일을 이룰 수 없었을
                                                      훗날 태종이 되는 이방원이다.
                       것이고, 정도전의 난에 만일 정안공이 없었다면 또한 어찌 오늘이 있겠습니까?……청하건대, 정
                       안공을 세자(世子)로 삼으소서.”라고 하였다. 임금이 말하기를, “경(卿)들의 말이 매우 옳다.”고
                       하고, 드디어 도승지에게 명하여 도당(都堂)에 전지(傳旨)하였다.                    - 『정종실록』 -





                                                                                                압축개념 16 ː 조선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비  149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