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 -
P. 14

● 세조와 한명회
                                                  세종 이래 정치와 교화가 나날이 새로워지고 예악(禮樂)이 제정되어 태평스런 시대를 빛내게
                                                되자, 글 잘하고 절의를 지닌 선비들이 조정으로 모여들었다. …… 그때에 여러 왕자들이 다투어

                                                빈객들을 맞아들였는데, 문인(文人)과 재사(才士)들이 모두 안평대군에게 의탁하여 수양대군에
                                                게는 이들보다 나은 인재들이 없었다. 한명회가 수양대군을 찾아가 신임을 얻게 되자 은밀하게
                                                계책을 올리기를, “세도(世道)에 변고가 있을 때에는 문인들이 쓸모가 없으니 모름지기 무사들

                                                과 결탁하소서.”라고 하였다.                                        - 『연려실기술』 -





                                                 정리
                                             조선의 건국과 유교 정치의 실현

                                                                        • 홍건적과 왜적을 격퇴하면서 정치적으로 성장
                                                        신흥 무인    최영,
                                                                        • 명이 철령위 사건을 일으키자 대립하게 됨.
                                                         세력      이성계
                                                                        • 위화도 회군으로 최영을 제거하고 이성계가 실권 장악
                                                새로운
                                                지배층                              • 고려 왕조 내 점진적 개혁 추구
                                                                 온건파    정몽주, 이색
                                                성장       신진                      •   전면적 토지 개혁(정몽주 찬성, 이색 반대)에 대체로 반대
                                                         사대부                     • 고려 왕조를 부정하고 역성 혁명 주장
                                                                 급진파    정도전, 조준
                                                                                 • 토지 개혁 찬성(과전법 실시)
                                                조선의     철령위 사건(1387) → 최영의 요동 정벌 → 위화도 회군(1388) → 이성계와 급진파 사대부의 연합 → 창
                                               건국 과정    왕 폐위, 공양왕 추대(1389) → 과전법 실시(1391) → 정몽주 제거(1392) → 조선 건국(1392)

                                                                국호 - 조선, 수도 - 한양
                                                         태조                      • 조선경국전 편찬
                                                                정도전 중심의 국정 운영    • 재상 중심의 정치 추구
                                                                                 • 불교 비판(『불씨잡변』) -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확립

                                                                • 왕권 강화 추구 - 6조 직계제 시행
                                                                • 사간원 독립을 통한 대신 견제
                                                                • 호패법 실시
                                                         태종
                                                                • 양전 사업 실시 및 사원의 토지 몰수·노비 해방
                                                                • 신문고 설치
                                                                • 사병 혁파
                                                                • 집현전 설치
                                                역대              • 왕권과 신권의 조화 추구 - 의정부 서사제 실시
                                               국왕들의
                                                         세종     • 훈민정음 창제 - 유교 규범 확산
                                                업적
                                                                • 청백리 재상 등용
                                                                • 쓰시마 섬 정벌과 4군 6진 개척
                                                        문종, 단종  재상권이 강화됨. - 양반 관료의 귀족화
                                                                • 계유정난(1453)을 통해 왕위에 오름.
                                                                • 6조 직계제 시행
                                                         세조     • 직전법 실시
                                                                • 집현전 폐지, 경연 중지
                                                                • 이시애의 난 진압
                                                                • 홍문관 설치
                                                         성종     • 사림 중용
                                                                • 경국대전 반포











                 150   다섯 번째 마당 ː 조선의 성립과 발전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