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 -
P. 12

1387       1388        1391       1392        1394        1401
                                               철령위 사건      위화도 회군     과전법 실시      조선 건국       한양 천도      신문고 설치
                          압축개념

                          16                 조선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비











                                             1. 고려의 멸망과 조선의 건국


                        출제자의 조언                    공민왕의 개혁 실패 후 고려 사회의 모순은 심화되었고, 대외적으로 홍건적의 침입과
                   1 조선왕조실록을 중심으로 사료           왜구의 노략질도 백성들을 힘들게 하였다. 그러나 홍건적과 왜적을 격퇴하는 과정에
                   를 통해 주요 역사적 사실을 눈여겨         서 최영과 이성계 등 신흥 무인 세력이 성장할 수 있었다.
                   익혀두세요.                                     철령 이북 땅이 원래 원에 속하였다는 이유로 명이 이곳을 직접 관할하는 철령위를 설치하려 한 사건이다.
                                                   1387년 명이 철령위 사건을 일으키자 최영은 요동 정벌을 계획하였고, 이성계가 4불
                   2 조선 건국 과정을 시대순으로 정
                   리해 두세요.                     가론을 들어 반대하였지만 결국 요동 정벌이 단행되었다. 그러나 정벌 과정에서 이성

                   3 태종, 세종, 세조, 성종 등 주요 왕     계가 위화도 회군을 단행하여 최영을 제거하고 실권을 장악하였다(1388).
                   의 업적을 구분하여 정리하세요.
                                                   그 후 이성계와 결탁한 신진 사대부는 고려 사회의 개혁 방향을 둘러싸고 정몽주를 중
                   4 주요 중앙 기구와 지방 기구의 기
                                               심으로 한 온건 개혁파와 정도전을 중심으로 한 급진 개혁파로 나눠지게 되었다.
                   능을 고려와 비교하여 살펴보세요.
                                                   이색, 정몽주 등 대다수 온건 개혁파는 고려 왕조의 틀 속에서 점진적 개혁을 시도하
                                               려 하였으나, 정도전 등 급진 개혁파는 고려 왕조를 부정하고 역성혁명을 지향하였다.
                 작은 나라가 큰 나라를 공격하는 것, 농사철인
                 여름에 출병하는 것, 북쪽을 정벌할 때 남쪽 왜
                 구가 침략하면 방어가 어렵다는 것, 장마철에        결국 이성계와 급진 개혁파 세력은 우왕과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세운 후 과전법을
                 활 등이 제대로 기능을 못하고 전염병이 돌 수     시행하고 정몽주 등 온건 개혁파를 제거하고 조선 왕조를 건국하였다.
                 있는 것
                                                                     국가 재정을 확보하고 신진 사대부에게 경제적 기반을 제공할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경기 일대의 토지를 전·현직 관료에게 분배하고 수조권을 지급하였다.

                                                  잠깐만요
                                                조선의 건국 과정
                                                신진 사대부와 신흥 무인 세력의 성장 → 철령위 사건(1387) → 고려의 요동 출정 → 위화도 회군
                                                (1388) → 창왕 폐위, 공양왕 추대(1389) → 과전법 실시(1391) → 정몽주 제거(1392) → 조선 건
                                                국(1392)

                 정몽주


                                             2. 유교 정치의 실현 노력

                                                   태조 이성계는 국호를 조선이라 하고 수도를 개경에서 한양으로 옮기고 경복궁을 건설
                                               하여 도읍의 면모를 갖추었다. 당시 정치를 주도했던 정도전은 유교적 민본주의에 입
                                               각한 국정 운영을 위해 재상 중심의 정치를 강조하였으며, 『불씨잡변』을 저술하여 불
                 정도전
                                               교를 비판하고 성리학을 통치 이념으로 확립하고자 하였다.
                                                                중국 남송의 주희에 의해 집대성된             국왕이 6조의 크고 작은 나라 일을
                                                                유학으로 주자학이라고도 한다.               직접 결정하는 제도이다.
                                                   한편 두 차례 왕자의 난을 통해 정도전 등을 제거하고 왕위에 오른 태종은 6조 직계제를
                                               시행하였고, 문하부 낭사를 분리하여 사간원으로 독립시켜 대신들을 견제하였으며,
                                               사병을 혁파하여 군권을 일원화하였다. 또 호패법을 시행하였고, 양전 사업을 실시하
                                               였으며, 신문고를 설치하고, 사원의 토지를 몰수하고 노비를 해방하여 사원의 경제적
                                               기반을 위축시켰다.                             토지의 실제 경작 상황과 소유자를
                                                                                      파악하기 위해 토지를 측량하는 것
                                                        16세 이상의 남자들이 가지고 다닌 일종의 신분증인   으로 주된 목적은 양안(토지 대장)
                                                        호패를 지니고 다니게 한 제도이다. 이를 통해 전국  에서 누락된 땅(은결)을 파악하여
                                                        의 인구 동태를 파악하여 조세 징수와 군역 부과에   국가 재정을 확보하는 것이다.
                 호패                                     활용하고자 하였다.


                 148   다섯 번째 마당 ː 조선의 성립과 발전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