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P. 17

또한 서리, 잡학인, 신량역천인 등으로 구성된 예비군 성격의 잡색군이 있었다.
                         한편 군사 조직과 더불어 교통과 통신 제도도 정비되어, 군사적 위급 사태를 알리기
                     위해 봉수제가 구축되고, 물자 수송과 통신을 위한 역참도 설치되었다.



                    5. 교육과 관리 등용 제도


                         조선에서 교육의 목적은 유교적 지식을 갖춘 관리를 양성하는 것이었고 양인이면 누
                     구나 교육을 받을 수 있었으나, 실제로는 양반 자제들이 대부분이었다.
                         교육 과정은 일반적으로 서당에서 교육을 받은 후, 한성은 4부 학당, 지방은 향교에서
                     유교 경전을 가르쳤다. 소과에 합격한 사람은 최고 교육 기관인 성균관에 입학하여 수
                     준 높은 교육을 받았다. 외국어, 천문학, 의학 등의 기술 교육은 해당 관청에서 실시하
                     였으며, 주로 중인이 공부하였다.
                         조선 시대 관리는 과거, 음서, 천거를 통하여 선발하였다. 과거 는 문관을 선발하는 문                         조선의 과거제
                     과, 무관을 선발하는 무과, 기술관을 선발하는 잡과로 구분된다. 문과에는 3년마다 정                                                 생원과
                                                                                                   문관      생진과(소과)   진사과
                     기적으로 실시하는 식년시와 부정기 시험인 증광시, 알성시 등이 있었다.                                                문과(대과)
                         문과에 응시하기 위해서는 우선 소과에 합격하여 생원이나 진사가 되어야 했다. 이후
                                                                                                   무관        무과
                     에 성균관에 입학하거나 대과(문과)에 응시할 수 있었고 하급 관리가 되기도 하였다.
                                                                                                                     역과
                         한편 조선에서는 고려와 달리 무과가 실시되어 명실상부한 양반 관료 체제가 구축되                             기술관                율과
                                                                                                             잡과
                                                                                                                     의과
                     었다. 기술관을 뽑는 잡과에는 역과, 율과, 의과, 음양과의 네 분야가 있었는데 해당
                                                                                                                     음양과

                     관청에서 필요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여 선발하였다.
                         법적으로 양인 이상의 신분이면 누구나 과거 응시가 가능하였지만 문과에는 주로 양                             과거 응시 제한
                     반 자제가, 무과에는 양반에서 상민까지, 잡과는 주로 중인층이 응시하였다.                                  탐관오리의 아들, 재혼한 여자의 아들
                                                                                                과 손자, 서얼에게는 문과‌응시를 제한하‌
                         과거 외에 고관의 추천을 받아 간단한 시험을 치른 후 관직에 등용되는 천거제와 고관                         였다.
                     의 자녀를 과거를 거치지 않고 등용하는 음서제도 시행되었지만 시행되는 경우가 드
                     물었고 고관 승진도 어려웠다.
                                                                                                가까운 친인척과 같은 부서에 근무하지 않도록
                         인사 관리 제도도 정비되어 권력의 집중과 부정을 막기 위한 상피제가 실시되었고, 인                         하거나, 응시자가 가까운 친척이 과거를 출제하
                                                                                                지 않거나, 출신 지역 또는 공부한 곳에 지방관
                     사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 5품 이하 관리의 등용에는 서경(署經)을 거치도록 하였다. 이                           으로 파견하지 않는 제도이다.
                     를 통해 조선은 관료적 성격이 더욱 강해지게 되었다.                 왕이 관리를 임명할 때 사헌부와 사간원에게
                                                                   서명으로써 동의를 구하는 일이다.

































                                                                                                압축개념 16 ː 조선의 건국과 통치 체제의 정비  153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