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P. 11

정답및해설

                        38 회                                            46 회
                      1. 해설                                           2. 해설
                        자료에서 연천 전곡리, 주먹도끼 등의 내용을 통해 (가)에 들어갈 내용은        제시된 자료에서 ‘농경과 정착 생활이 시작되었다는 점, 서울 암사동 유
                        구석기임을 알 수 있다.                                   적, 빗살무늬 토기 만들기, 갈돌과 갈판으로 곡식 갈아보기’를 통해 (가)
                                                                        시대는 신석기 시대임을 알 수 있다.
                        정답
                        ⑤   구석기 시대에는 주먹도끼 등의 뗀석기를 사용하며 이동생활을 하던         정답
                          시기로 주로 동굴이나 강가의 막집에서 거주하였다.                   ②   신석기 시대에는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활용하여 옷이나 그물을 만들
                                                                         었다.
                        오답
                        ①   거푸집을 이용하여 도구를 제작한 것은 청동기 시대 이후에 해당          오답
                          한다.                                           ① 돌방무덤은 철기 시대의 무덤이다.
                        ② 청동기 시대에는 지배자의 무덤으로 고인돌을 축조하였다.                ③ 명도전, 반량전은 중국의 화폐로 철기 시대에 사용되었다.
                        ③ 청동기 시대에는 반달 돌칼을 이용하여 곡식을 수확하였다.               ④ 철제 농기구는 철기 시대 이후에 사용되었다.
                        ④ 신석기 시대에는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을 지었다.              ⑤ 거푸집을 이용한 비파형 동검 제작은 청동기 시대 이후에 해당한다.

















                            키워드 노트                                          키워드 노트
                         연천 전곡리, 아슐리안형 주먹 도끼, 모비우스 학설 뒤집는 증거 - 구         농경과 정착 생활 시작, 서울 암사동 유적, 빗살무늬 토기, 움집, 갈돌
                         석기 시대 - 동굴, 막집 거주                               과 갈판 - 신석기 시대 - 가락바퀴 이용




                        36 회                                            45 회
                      3. 해설                                           4. 해설
                        제시된 자료에서 서울 암사동, 농경의 시작, 정착 생활, 움집 등을 통해        자료에서 부여 송국리에서 비파형 동검, 거푸집 등 대표적인 유물이 출
                        ‘이 시대’는 신석기 시대임을 파악할 수 있다.                      토되었다는 점, 고인돌이 남아 있다는 점 등을 통해 (가)는 청동기 시대임
                                                                        을 알 수 있다.
                        정답
                        ①   신석기 시대는 농경과 목축이 시작되고 간석기와 더불어 토기를 제작        정답
                          하였다. 토기는 음식물을 저장하거나 조리하는 데 이용하였다.             ⑤   청동기 시대에는 반달 돌칼을 사용하여 곡물을 수확하였다. 반달 돌
                                                                         칼은 곡물의 이삭을 따는 데 주로 이용되었다.
                        오답
                        ②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는 철기 시대에 들어와 시작되었다.              오답
                        ③   명도전과 반량전은 철기 시대에 사용된 중국 화폐로 중국과의 교류가        ①   구석기 시대에는 이동 생활을 하며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 거주하였다.
                          이루어졌음을 보여주는 유물이다.                             ② 철기 시대 이후 철제 농기구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④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 군장의 무덤으로 지배 권력의 등장을 보여주는        ③ 삼국 시대에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되었다.
                          것이다.                                          ④ 구석기, 신석기 시대는 계급이 없는 평등한 사회였다.
                        ⑤   세형 동검은 철기 시대에 제작된 청동기로 철기 시대에 한반도에서
                          독자적인 청동기 문화가 발달하였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거푸집은 청
                          동기를 만드는 틀이다.











                            키워드 노트                                          키워드 노트
                         서울 암사동, 농경 시작, 정착, 움집에 거주 - 신석기 시대 - 빗살무늬       부여 송국리 유적, 비파형 동검, 거푸집 - 청동기 시대 - 반달 돌칼
                         토기에 식량 저장                                       사용



                                                                                           압축개념 01 ː 구석기 · 신석기 · 청동기 · 철기 시대의 생활  019
   6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