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2 -
P. 12

타났다. 100일 동안 효과적인 업무 시간 12일이 더 생긴 셈이었다.
                 교수기법에 초점을 맞추는 카우프만에게 교사들도 반응을 보이면서

                 그 시간이 성과로 이어졌다. 그해 주에서 주관하는 수학 시험을 통과
                 한 학생 비율이 4.2퍼센트 상승했고 읽기에서도 비슷한 성과가 나타

                 났다.

                    어떤 것도 쉽지 않았다. 끊임없이 시간을 인식하는 것은 시간이
                 계속 흘러가게 두는 것보다 확실히 어려운 일이다. 그리고 그 일은

                 끝이 없다. ‘티칭 튜즈데이’ 같은 습관은 시간을 잘 사용할 수 있게 돕
                 지만, 그렇다고 시간을 인식하지 않아도 되는 건 아니다. 경험 많은

                 교사 여섯 명이 학교를 떠나면 교장은 새로운 교사들을 멘토링하는

                 데 시간을 더 안배해야 할 것이다. 수업 일수가 변할 수도 있다. 학교
                 인적 구성이 변할 수도 있다. 때문에 끊임없는 평가가 필요한 것이다.

                    이런 훈련은 놀라운 정신적 자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플로리다

                 주 힐스버러의 레딕 초등학교 교장인 J. 토머스 로스J. Thomas Roth 역시
                 전국 SAM 혁신 프로젝트를 통해 자신의 시간을 추적하고 관찰했다.

                 그 결과, 저소득층 학생들을 위해 일하는 교사들의 교수 리더십에 보

                 내는 시간이 크게 늘어났다. 그는 말한다. “삶이 모든 부분에서 한층
                 나아졌습니다. 학교 업무를 효율적으로 보게 되자 오후 4시 30분 넘

                 어서까지 학교에 있는 날이 눈에 띄게 줄었고 계획한 과제들을 끝냈
                 다는 홀가분한 마음으로 퇴근할 수 있게 됐습니다.”

                    로스는 다음 날 학급 훈육에 관심을 둔 교사와 면담할 시간을 잘




                                            35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