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P. 11

한다는 것은 밀린 일정을 의도적으로 비워둔 시간에 바로 할 수 있는
            유동성을 뜻하기도 한다. 화재경보가 울리는 식의 변수는 언제라도

            일어날 수 있기 때문이다.
               카우프만은 자신의 시간을 추적한 6개월 동안 SAM 직원과 함께

            시간이 계획대로 쓰였는지 매일 확인했다. 전날 시간 사용에 변경이

            있었다면 두 사람은 그 이유를 파악하기 위해 노력했다. 학교에서 교
            장 업무에 온전히 시간을 쏟는 데 무엇이 방해가 되는지 분석한 것이

            다. 카우프만은 말한다. “제 시간에 책임을 지게 됐습니다. 관리자가
            있어서 가장 좋은 점입니다.”

               관리자는 카우프만이 지도를 필요로 하는 교사와 대화 시간을 만

            들도록 계속해서 채근했다. 카우프만은 이 일이 교장의 우선적인 업
            무라는 것을 확인했고 관리자가 끊임없이 이를 상기시켰기 때문에

            보통 할애했던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이 업무에 쏟게 됐다. 관리

            자는 카우프만에게 구내식당 당번과 같이 다른 사람이 할 수 있는 일
            은 그만하는 것이 좋겠다고 권고했다. 두 사람은 학부모가 비교적 단

            순한 문제로 학교에 전화를 했을 때 누가 전화를 받을지도 의논했다.

            “관리자와 함께하기 전에 저는 학교의 모든 일에 연결된 사람이고 싶
            었습니다. 하지만 모든 일을 할 수도 없고 그렇게 해서도 안 되는 것

            이었죠.”
               그 결과 2016년 초에서 2017년 말까지 이어진 후속 연구에서 카

            우프만은 교수 리더십에 시간의 51퍼센트를 사용하게 된 것으로 나




                                       34
   6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