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P. 16

인류는 생명·정보·환경 분야에서 그런 모든 가능성을 없앨

            재앙을 촉발할 수도 있다.

                4장에서는 물리적 현실의 범위에 관한 의문을 불러일으

            키는 몇 가지 과학적 주제들을 다루면서, 우리가 현실 세계의
            복잡성을 이해하는 데 본질적인 한계가 있는지를 살펴본다.

            근본적이고 철학적인 문제이지만, 순전히 나의 개인적 관점

            에서 주제를 골랐다는 점을 밝힌다. 우리는 과학이 인류의 장

            기 번영에 미칠 영향을 예측하려면 무엇이 믿을 만하고, 무엇
            은 과학소설로 치부해야 하는지를 평가할 수 있어야 한다.

                5장에서는 ‘지금 여기’와 더 관련이 깊은 현안들을 다룬

            다. 과학은 최적의 형태로 적용될 때, 2050년에 지구에 살

            90~100억 명에게 밝은 미래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떻게 해야 디스토피아적 피해를 예방하면서 바람직한 미래

            를 이룰 기회를 최대화할 수 있을까? 우리 문명은 과학의 발전

            과 그 결과로 심화되는 자연에 대한 이해, 그리고 거기에서 비

            롯되는 혁신을 통해 변모한다. 과학자들은 대중과 더 폭넓게
            소통하고 자신의 전문성을 유익하게 활용해야 할 것이다. 걸

            려 있는 것이 많을 때, 그러니까 판돈이 엄청나게 클 때는 더더






            22 · 서문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