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9 -
P. 9

새로운 저성장 모드로 진입한 한국 경제



                       한국 소비 시장은 30~54세에 해당하는 소비자가 주도한다. 그런데

                       이 연령대의 인구가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했다. 한
                       국 경제는 이제 과거 60년간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표준, 즉 ‘뉴노멀’

                       경제로 변화됐다고 평가할 수 있다. 급격한 고령화, 중국의 신창타이

                       新常態 (고도성장의 시기를 지나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는 의미), 4차 산
                       업혁명, 마케팅 4.0 시대로의 진입과 같은 여러 환경 변화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고 있는 것이다. 뉴노멀에는 기술, 소비자, 소비 환경이

                       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근본적인 배경이 존재한다.
                            첫째, 기술 측면을 보자. 최근의 기술혁신은 대부분이 기존 제

                       품을 개선하거나 효율을 높이는 존속성 혁신                sustaining innovation 이라기

                       보다는 기존의 일자리와 비즈니스를 와해시키는 파괴적 혁신                     disruptive
                       innovation 의 성격을 띠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아마존고        Amazon Go ’다. 아

                       마존고는 2017년 시애틀에 문을 연 아마존의 스마트 매장으로 80명
                       이 필요했던 매장 직원 수를 6명으로 줄였다. 잉여인간으로 변화하는

                       근로자들의 처분가능소득 감소는 불가피하고, 이들의 소비 열망이

                       급속히 사라질 것이라는 예상은 먼 미래가 아닌 눈앞의 현실이 되었
                       다. 이것이 바로 1번 트렌드로, 파괴적 혁신 기술은 이제 변곡점을 지

                       나 지수 함수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둘째, 소비자 측면이다. 여기서는 세 가지 트렌드가 생겨나

                       는데 고객 수의 감소, 1인 가구 증가, 100세 기대수명이다. 고성장

                       을 표준으로 하던 올드노멀 경제에서는 고객 수와 객단가가 모두 지







                       제1부 ━ 새로운 현실: 뉴노멀 경제                                     017
   4   5   6   7   8   9   10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