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0 -
P. 20

이 책 속 학습어휘는 어디서 왔을까?



                    전국에 있는 초등학교 선생님들은 ○○○○을 가지고 가르칩니다. 빈칸에 들어갈 단어는 무엇일까

                    요? 정답은 ‘성취기준’입니다. 흔히 교과서를 가르친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선생님들이 가르쳐야 하

                    는 것은 교과서가 아니라 성취기준입니다.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게 교과서이고, 교과서의

                    근본이 되는 것이 성취기준이니까요.
                       성취기준이라는 개념이 생소할 것 같아 예를 하나 드리겠습니다. 초등학교 3~4학년 사회과 교육

                    과정의 성취기준*은 다음과 같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4사01-01]  우리 마을 또는 고장의 모습을 자유롭게 그려 보고, 서로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고장
                                 에 대한 서로 다른 장소감을 탐색한다.
                       [4사01-02]  디지털 영상 지도 등을 활용하여 주요 지형지물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백지도에 다시 배치하는
                                 활동을 통하여 마을 또는 고장의 실제 모습을 익힌다.


                       성취기준을 잘 살펴보면 이 속에서 배워야 하는 학습 요소들을 뽑아 낼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성

                    취기준에서는 ‘고장’과 ‘장소감’이라는 어휘가 눈에 들어오지 않나요? 두 번째 성취기준에서는 ‘디지

                    털 영상 지도’와 ‘위치’, ‘백지도’ 등이 보이고요. 이러한 학습어휘들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어야 교과

                    서를 읽어도 그 내용이 의미하는 것을 온전히 파악할 수 있습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학습어휘는 다음과 같은 4단계의 과정을 거쳐 추출했습니다.




                       1단계 : 초등학교 3~4학년 국어, 수학, 사회, 과학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분석
                       2단계 : 교과별로 반드시 알아야 하는 내용 요소 추출
                       3단계 : 내용 요소 중 3~4학년 학생들이 잘 알지 못하거나 혼동하는 어휘 추출
                       4단계 : 3~4학년 학습어휘와 연결되는 5~6학년 학습어휘, 3~4학년 학습어휘와 연결하여 배우면 좋은 학
                       습어휘 및 3~4학년 수준을 넘어가는 어려운 어휘들을 추출한 뒤 ‘심화 학습어휘’로 분류








                    *  교육부(2015). 사회과 교육과정. 교육부.





           20







                                                                                                                    2022-11-22   오후 6:06:44
     책1.indb   20                                                                                                   2022-11-22   오후 6:06:44
     책1.indb   20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