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P. 16

그림을 보여준다(나는 이쪽이 훨씬 더 정확하다고 주장한다). 구글

                에서 드러나는 결혼생활의 가장 큰 불만은 섹스를 하지 않는 것이
                다.  ‘섹스 없는 결혼생활’이  ‘불행한 결혼생활’보다 3.5배 많이 검

                색됐고 ‘사랑 없는 결혼생활’보다는 여덟 배 많이 검색됐다. 결혼하

                지 않은 커플조차 종종 섹스를 하지 않는 데 불만을 갖는다.  ‘섹스
                없는 관계’에 대한 구글 검색량은  ‘폭력적인 관계’에 버금간다(이

                자료는 모두 익명으로 제시된다는 점을 강조해야겠다. 구글은 당연
                히 특정 개인의 검색 데이터를 공개하지 않는다).

                   구글 검색은 설문조사에서 그리는 탈인종 유토피아와는 현저
                히 다른 미국을 보여준다. 구글 트렌드에 처음 ‘깜둥이nigger’를 입력

                해봤을 때가 기억난다. 나를 순진하다고 말해도 좋다. 하지만 그 말

                이 얼마나 모욕적인가를 고려했을 때 나는 검색량이 적으리라고 생
                각했다. 틀린 생각이었다. 미국에서 ‘깜둥이’ 또는 그 복수형인 ‘깜

                둥이들’이 포함된 문장은  ‘편두통’  ‘경제학자’  ‘레이커스Lakers’(미
                국 프로농구단 이름–옮긴이) 같은 단어와 검색 빈도가 거의 비슷했

                다. 랩 가사가 결과를 왜곡하지는 않았을까? 아니었다. 랩에서는 언
                제나 그 단어를 nigga(s)라는 식으로 사용했다. 미국인들은 왜  ‘깜

                둥이’를 검색할까? 사람들은 종종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비웃는 농

                담을 찾으려 했다. 사실 ‘깜둥이’라는 단어와 함께 검색하는 단어의
                20퍼센트가  ‘농담’이었다. 그 외에도  ‘멍청한 깜둥이’  ‘깜둥이가

                정말 싫어’라는 문구가 흔히 검색됐다.
                   매년 이런 검색이 수백만 건씩 이뤄졌다. 많은 미국인이 집이라






                2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