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 -
P. 18
정답일까. 그것도 역시 정답이 아니다.
내가 생각한 결론은 두 방식을 적절히 섞어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 팀장은 팀원이 어떤 방식으로 업무를 지시받을 때 더 좋
은 결과를 낼 수 있는지부터 파악해야 한다. 관상만 보고 맞히라
는 이야기가 아니다. 서로 소통하며 파악하고,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다 보면 조금 더 세심하게 가르쳐야 하는 사람인지, 혼자서
더 부딪혀볼 필요가 있는 사람인지를 알게 된다.
스스로 부딪혀가며 배우는 타입
아마존에 입사하고 얼마 되지 않아 제품을 론칭하는 역할을 맡았
을 때의 일이다. 제품에 대한 기술적 이해도 부족한 상황에서 모
르는 사람들과 부딪히며 론칭 준비를 했다. 담당 매니저는 딱 두
번의 회의에만 참석하고 그 후로는 내가 담당자가 되어 알아서
일을 진행해보라고 했다. 질문을 해도 매니저는 자신도 이 프로
젝트는 처음이라 잘 모르겠다는 답변만 할 뿐이었다.
너무나도 솔직한 그의 말에 나는 초조해졌다. 하지만 오히려
이 초조함 덕분에 모르는 부서 사람들까지 붙잡아가며 일을 하
기 시작했다. 두 번 물어보기는 미안해서 상대가 말해주는 모든
내용을 적어가며 숙지했다. 이 초조함은 회의실에서 동료들의 말
192
CHAPTER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