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P. 25
책을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이야말로 통합적 사고의 핵심이다. 마
틴은 통합적 사고를 ‘까다로운 문제에 직면해서 창조적인 대답을 만들
어내는 접근법 또는 상반되는 아이디어의 긴장 관계를 활용하여 획기
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는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크누스토르프는 상반되는 모형 사이의 긴장 관계를 활용하여, 기존
해결책보다 더 효과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해결책을 만
들어냈다. 예를 들어 레고 브랜드 이미지를 위해 제작 과정을 통제할 수
있지만, 그럴 경우 유능한 인재를 끌어들이기 힘들다. 다른 한편으로,
제작 권한을 모두 넘겨준다면 인재를 확보하고 흥행 가능성을 높일 순
있지만 그 결과물이 브랜드 이미지에 치명적인 위험이 될 수도 있다.
경영자라면 아마도 이 상황을 타협의 문제로 이해할 것이다. 그러면
서 ‘훌륭한 영화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인재를 끌어모으기 위해서 얼마
나 많은 권한을 포기해야 할까?’를 고민할 것이다. 그러나 크누스토르
프는 그렇게 묻지 않았다. 그는 레고의 브랜드 이미지를 끌어올리면서
흥행에도 성공할 수 있는 영화를 원했다. 그는 자신의 과제를 타협의
문제가 아니라 통합의 문제로 봤다. 그리고 두 가지 모형 사이에서 어
중간한 타협이 아니라, 최고의 가치를 뽑아내고자 했다 (도표 1-1). 다시
말해, 차선책이 아니라 최고의 선택을 창조하는 것이 자신의 임무라고
생각했다.
CHPTER 1┃통합적 사고 2.0 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