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P. 11

을 제시해주길 바라며, 인지 부조화를 용납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애

                   초의 판단을 수정할 수 있는 여지를 리더에게 허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판단을 구성원 모두가 받아들이길 바라기에 이런 의사결정 과정은
                   쉽게 집단적 사고로 이어진다.

                    반면 우리가 관찰한 바에 따르면 또 다른 양상도 있다. 어린 학생들,

                   그중에서도 특히 초등학생들은 통합적 사고를 한다. 그 결과 인지적 편

                   향에 사로잡히지 않는다. 통합적 사고 과정이 인지적 편향의 상당 부분
                   을 완화해주는 것이다. 이를 알게 된 우리는 행동의사결정을 우리 이론

                   에 접목했다. 학생들에게 통합적 사고를 가르칠 때, 편향과 경험법칙                    經

                   驗法則 (경험으로부터 얻은 사물의 인과관계와 성상에 관한 지식과 법칙 -편집자주)에 관

                   한 이야기로 강의를 시작한다. 그리고 카너먼과 애리얼리를 비롯한 많
                   은 사상가가 소개한 다양한 사례를 바탕으로, 기존 접근법이 문제 해결

                   에 실패한 이유를 설명한다. 이와 관련된 이야기는 2장에서 더 자세히

                   할 것이다.







                   디자인 사고


                                         행동의사결정 이론이 경영대학원 전반으로

                   확산될 무렵, 비즈니스 세계에서는 의사결정 이론에 관한 또 하나의 중

                   요한 흐름인 ‘디자인 사고’가 주목받기 시작했다. GE와 IBM, 피델리티

                   인베스트먼츠     Fidelity Investments  같은 대기업은 디자인 사고를 자신들의 혁신적






                   016     프롤로그
   6   7   8   9   10   11   12   13   14   15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