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후 고려는 벽란도를 통한 국제무역을 활발히 전개했다. 그러니 어쩌면
(누군가의 주장처럼) 우리의 사개송도치부법이 아라비아 상인을 통해 유럽
에 전래되어 오늘날의 회계에 이르게 된 것일지도 모른다. 혹시 루카 파
치올리는 사개송도치부법이라는 다 차려진 밥상 위에 숟가락만 얹고서
‘회계학의 아버지’라는 타이틀을 얻게 된 것은 아닐까? 진실은 역사만이
알 테지만, 그것 참, 개성상인이 회계의 시초라니 사실이든 아니든 상상
만 해도 설렌다.
PART 1. 회계가 나타났다!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