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
P. 15

이란 현금의 입금, 출금 여부와 상관없이 거래나 사건이 실제로 발생했

                        을 때 수익과 비용을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발생주의 회계와 반대되는 개념이 ‘현금주의 회계’다. 현금주의에서
                        는 월급과 같은 수익은 현금이 입금된 날에 수입으로 기록하고, 비용은

                        현금으로 지급한 때에 지출로 기록한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가계부가
                        현금주의를 적용한 대표적인 회계다.

                          오회계사는 노트북을 구매하고 신용카드로 결제를 했다. 그런데 조금

                        이상하다. 물건은 분명 손안에 있는데, 돈을 내지는 않았으니 말이다. 그
                        렇다면 오회계사는 노트북을 구매한 것인가, 하지 않은 것인가. 현금주

                        의 회계에서는 노트북을 사지 않은 것이다. 왜? 돈이 나가지 않았으니까.

                          그런데, 노트북을 사지 않았다고 하기에는 뭔가 마음이 불편하다. 왜?
                        오회계사는 분명 지금도 카페에 앉아 새로 산 노트북으로 페이스북을 하

                        고 있으니까.

                         ‘현금은 지급하지 않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회계사가 노트북을
                        구매한 것이 맞다’는 데 동의할 수 있는가? ‘네’라고 대답한다면 발생주의

                        회계의 기초는 이미 다 알고 있는 것이다. 발생주의 회계에서는 비록 현

                        금의 지출은 없었지만 노트북 구입이라는 거래가 발생하였고(‘발생’이라는
                        개념을 자세히 설명하자면 한없이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다. 지금은 그냥 직관적으로

                        거래가 ‘발생’했다는 느낌만 알아두자), 그러므로 노트북 구입비라는 비용이 기
                        록된다(감가상각은 없다고 가정한다). 즉, 노트북을 산 게 맞다.

                          비록 가계부는 현금주의에 따라 쓰지만, 그렇다고 노트북 구입 사실을

                        가계부에 기록하지 않을 수도 없다(물론 기록하지 않는다고 큰 문제가 되는 것
                        은 아니다. 그냥 카드대금 결제일의 비고란에 노트북을 샀다고 적으면 되니까. 그렇지







                                                                 PART 2. 회계에 관한 몇 가지 약속들  37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