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 -
P. 4
으로 추산됐고 2050년에는 1억 1,500만 명까지 증가할 것
1
으로 예상된다. 고소득 국가의 치매 환자 대부분은 병이 중
등도나 꽤 후기 단계에 이르러서 진단을 받는데, 이때가 되
어서야 의학적으로 주의를 기울일 만한 증상이 처음으로 눈
에 띄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보다 사정이 더 안 좋은 지역
에서는 많은 사람이 치매에 대한 치료를 전혀 받지 못하거나
치매의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서야 병원에 가게 된다.
치매는 정상적인 노화 과정보다 훨씬 심하게 기억을 앗
아가고 사고 과정에 혼란을 초래하는 뇌의 퇴행성 장애다.
뇌에 나타나는 이러한 변화는 일상적 과제와 활동을 수행하
는 능력,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반응하는 의사소통 능력, 인
간관계에서 자신이 맡은 역할을 유지하는 능력을 손상시킨
다. 전체 치매 가운데 적어도 60퍼센트는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것이며, 파킨슨병Parkinson’s disease을 비롯한 다른 치매 원
인병도 증상만으로는 알츠하이머병과 구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한 사람에게 알츠하이머병과 다른 원인병이 모두
생기기도 한다.
결정적으로 알츠하이머병이라는 진단이 내려지려면
뇌에 아밀로이드 플라크amyloid plaque(아밀로이드 베타 단백
질amyloid beta protein 파편들의 덩어리)와 엉킨 신경섬유 뭉치
neurofibrillary tangle(타우 단백질tau protein에 생긴 뒤틀린 미세섬
들어가며: 삶의 의미를 끝까지 지키기 위하여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