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 -
P. 14

리키는 기호 표현으로 이루어졌다.”라고 했는데, 이 개념은 이후 현대 언어학
              의 토대가 되었다.

              제1차 세계대전 이전 미국에서는 심리학자 왓슨이 분트의 구성주의에 반대하
              는 입장에서, 생각하는 내용을 기술하는 내관법이 아니라 심적 활동 과정이 반
              영된 행동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해야 한다는 행동주의를 제창했다. 자극

              과 반응의 결합을 중요시하는 행동주의는 그 후 개의 조건 반사로 알려진 러시
              아의 생리학자 파블로프의 연구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 등, 빠르게 확산되기 시
              작했다.

              하지만 1950년이 지났을 무렵부터는 행동주의에 대한 비판도 커지기 시작했
              다. 인간을 블랙박스로 여기며 자극과 행동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만으로는 심
              적 활동 과정을 완전히 알 수 없다는 비판과 내면 분석의 메커니즘이 모델화

              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대두된 것이다. 이렇게 행동주의를 비판하는 연구자
              가 여러 분야에서 속속 등장하기 시작했는데(이를 반행동주의라고 한다), 인간
              의 언어 활동 과정을 보편적으로 모델화하려던 미국의 언어학자 촘스키, 컴퓨
              터에 의한 정리의 자동증명을 실현한 인공지능학자 뉴웰과 사이먼, 단기 기억의

              용량을 측정한 인지심리학자 밀러 등이 있다. 이들에 의해 인지 과정의 정보 처
              리 모델화가 시도되었고, 결국 행동주의는 쇠퇴하게 된다. 이를 계기로 인지심
              리학자 나이서가 인지심리학을, 이어서 가드너가 인지혁명의 개념을 제시하면
              서 인지심리학과 인지과학의 시대가 열리게 된다(그림 1-4).
























          024




     인지과학_07.indd   24                                                     2022-03-14   오후 5:02:43
   9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