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P. 16
발신한 방으로 도로 갖다달라는 부탁이나 지시만 달랑 적혀 있
5
었다. (“이것을 즉시 247호실로 반납해주시기 바랍니다” 또는
“이 문서를 247호실로 반납 요함”) 이 내용을 주의 깊게 읽은
사람이라면 ‘이걸 보낸 사람이 자기에게 필요한 것을 애초에 왜
보냈겠어?’라는 의문이 들 것이고, 따라서 그 회람문을 되돌려
주지 않을 것이다. 실험에 사용된 회람문의 절반은 평소 부서 간
에 주고받는 것과 똑같은 모양으로, 나머지 절반은 어딘가 다르
게 보이도록 만들어졌다. 익숙한 모양의 회람문을 받은 실험 참
가자의 90퍼센트는 진짜로 그것을 반납했다. 평소와 모양이 다
를 때는 반납률이 60퍼센트로 줄어들었다.
나중에 내가 한 대학교 세미나에서 이 연구들에 대해 발표했
더니 청중 한 사람이 그와 유사한 방식으로 벌어졌던 소규모 사
기극 이야기를 해줬다. 어떤 사람이 로스앤젤레스에서 발행되
는 한 신문에 “○○○에게 1달러를 보내기에는 지금도 늦지 않
았습니다”라는 광고를 내고 자신의 이름과 주소를 밝혔다. 대
가로 뭔가를 받을 수 있다는 약속은 전혀 없었다. 수많은 사람이
1달러를 동봉해서 편지를 보냈고, 광고를 낸 사람은 상당한 돈
을 벌었다.
이 사례들에서 확연히 드러나는 자동 행동은 여러 면에서 습
6
관과 유사하다. 습관, 다시 말해 오랫동안 반복해온 행동을 계
속하려는 경향에는 근본적으로 마음놓침이 내포되어 있다. 하
50
1부. 마음을 놓쳐버린 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