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P. 17
지만 다음 장에서는 우리가 오랜 반복을 통해 습관화된 상황이
아니어도 언제든지 마음놓침 상태가 될 수 있다는 것 또한 볼 것
이다.
좁은 시야가 새로운 신호를 거부할 때
우리는 살면서 종종 한 가지 방법 말고는 다른 방법이 없는 것
처럼 행동한다. 예를 들어 요리할 때 우리는 조리법을 정확하고
충실하게 따르려는 경향이 있다. 재료를 넣을 때도 마치 법령을
따르듯이 조리법을 지킨다. 조리법에서 소금 한 줌을 넣으라고
했는데 두 줌이 들어갔으면 그릇이 당장 폭발이라도 할 듯 기겁
을 한다. 이렇듯 조리법을 깨뜨릴 수 없는 유일무이한 규칙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우리는 사람들의 입맛이 얼마나 다양한지를 간
과하거나 나만의 새로운 요리를 만들어내는 것이 얼마나 즐거울
지 생각도 못해보기 십상이다.
내가 대학원에서 처음으로 한 실험이 바로 이런 단일 관점의
문제에 관한 것이었다. 그 실험은 각기 다른 방식으로 도움을 요
청했을 때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예비 연구로, 다음과 같이 진
행되었다. 동료 연구자 하나가 사람이 많은 인도에 서서 지나가
는 사람들에게 자기가 무릎을 삐어서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
51
1장. 내가 왜 그 생각을 못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