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4 -
P. 14
족시키기 위해서 빼앗고 속이고 죽이는 악행을 개인적으로도, 집단
적으로도 합니다.
그런 욕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강제적인 장치가 꼭 필요합니다.
그 장치가 바로 종교입니다. 크리스트교의 박애 정신, 이슬람교와
불교의 계율, 힌두교의 일상생활 규범, 유교의 제사와 조상 숭배 등
이 강제력이 있는 장치에 해당합니다. 이렇게 종교는 서로 조화를
이루고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칩니다.
살인이 줄어들면 안심하고 무기를 버리고 일을 하고 물건을 만들
어내고 잉여생산물을 나눠가질 수 있습니다. 사회 전체적으로 이익
을 추구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싸우는 것이 아니라 나누면서 경제
라는 사회 기반을 형성하기 시작합니다. 종교적 조화는 경제적 조
화로 발전하고 경제적 조화는 다른 종교적 조화를 촉진합니다. 종
교와 경제의 나선형 구조가 생겨나고 사회 전체가 발전합니다.
합리적인 목적에 따라서 요구되는 것을 종교라고 생각해볼까요?
그렇다면 종교가 정신적인 것에만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광범위한
사회적 기능을 하는 제도와 시스템으로서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
습니다.
18
종교사-본문최종.indd 18 2021. 1. 4. 오후 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