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P. 17

연장은 경쟁하듯 규모를 키

                 워갔습니다. 그 결과 작곡자

                 도 청중의 기대에 부응하고
                 자 거대 공연장에 걸맞게 오

                 케스트라의 편성을 늘려갔

                 지요.
                                                         쇤베르크 <구레의 노래> 연주회(도쿄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20세기에 들어서면 쇤베
                 르크의 <구레의 노래>는 150명, 메시앙의 <투랑갈릴라 교향곡>은 120명에

                 육박하는 등 오케스트라의 규모가 더욱 거대해집니다. 말러가 1907년에 작
                 곡한 <교향곡 제8번>은 오케스트라, 독창가수, 합창단을 통틀어 무려 1,000

                 명에 가까운 인원이 무대에 올라 <천인 교향곡>이라는 이름이 붙기도 했

                 지요.
                   오케스트라를 이끌어가는 지휘자가 서있는

                 위치도 세월에 따라 변해왔는데요. 과거에는 옆

                 의 그림처럼 오케스트라에 360도로 둘러싸여서
                 지휘했답니다.

                   지금처럼 청중을 뒤로하고 오케스트라를 바

                 라보며 지휘하는 형태가 정착된 건 낭만주의 이후라고 하네요.
                   오케스트라의 악기 구성은 다음 페이지를 참조하세요.










                                                        제1장  인간의 기쁨과 슬픔을 함께한 클래식 음악      03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