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1 -
P. 21

성가’이지만 로마의 교황 그레고리오 1세의 이름을 따 그레고리오 성가라고

                 불리게 되었지요.

                   그레고리오 성가는 멜로디가 하나인 단선율입니다. 흔히 1옥타브 범위
                 에서 움직이며 높은음에서 낮은음으로 내려가면서 끝나죠. 마지막 음을 ‘종

                 지음’이라고 하는데요. ‘도’로 끝나는 선법(음이 배열되는 규칙)은 ‘이오니아 선

                 법’, ‘레’로 끝내는 선법은 ‘도리아 선법’으로 ‘도’에서 ‘라’까지 총 여섯 개의 기
                 본 선법이 있었습니다. 참고로 베토벤은 ‘파’에서 끝나는 ‘리디아 선법’을 적

                 용한 현악 4중주를 작곡했는데요. 악보를 보면 ‘리디아조, 병에서 회복된 자

                 가 신에게 드리는 감사의 노래’라고 적혀있답니다.
                   그레고리오 성가가 등장하기 이전에는 지역마다 제각기 다른 성가가 존

                 재했습니다. 유럽 전역에 기독교가 포교되는 과정에서 지역 특유의 문화와

                 섞였고 그 결과, 예배 형식을 비롯해 음악의 형태도 다양해졌죠.
                   그러다 5세기 말경, 로마 교황 그레고리오 1세

                 (590~604년)는 유럽에 다양하게 정착된 성가들을 하

                 나로 통합하라는 지시를 내립니다. 지역마다 교회
                 음악이 다르면, 로마 교회의 영향력 확장에 걸림

                 돌이 된다고 여겼기 때문이죠. 그리하여 유럽 교

                 회 곳곳에 그레고리오 성가가 보급되기 시작합니
                 다.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그레고리오 성가는 유럽

                 전역에 스며들었고 서양 음악의 근간으로 자리 잡
                                                               그레고리오 1세는 성령을 표상하는 비둘기를
                 았습니다. 그레고리오 성가의 기본 선율은 르네상                     보고 영감을 받아 성가를 작곡했다고 한다.




                                                                   제2장  클래식 음악의 시작      047
   16   17   18   19   20   21   2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