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
P. 27

보다 (사망률 면에서) 나았다’고 해서 시골 사람들의 위생관념이 더

              철저했다는 뜻이 아니다. 그저 시골 사람들이 도시 사람들에 비해
              서로 멀리 떨어져 살았기 때문일 뿐이다.

                1920년대 들어서 상황은 개선되었고, 도시의 불이익은 사라졌
              다. 1800년대 중반, 세균이론이 정립되거나 완전히 받아들여지기도

              전에 위생상태를 개선하고 공중보건 정책을 도입한 것이 큰 이유였

              다. 처음에는 변화 속도가 느렸다. 전염병이 사람에서 사람으로, 또
              는 오염된 물을 통해 옮길 수 있다는 생각은 당시 널리 퍼져 있던 믿

              음을 거스르는 것이었다. 당시 사람들은 전염병은 썩어가는 유기물
              에서 배출되는 지저분한 공기 때문에, 또는 사람들의 부족한 덕성

              때문에, 아니면 신의 심판을 받아 생기는 거라고 믿었다. 1600년대
              에 흑사병 사망자들이 묻힌 공동묘지를 한 하수관 업체가 파헤치면

              서 전염병이 생겨났다는 소문이 떠돌기도 했다. 그런 것들이 전염병

              의 원인이라고 생각했으니 위생상태를 개선하거나, 하수관을 설치
              하거나, 깨끗한 수원지를 개발하거나, 인구밀도를 낮추는 것은 전염

              병 예방책으로 아무런 논리적 근거가 없어 보였을 것이다.





                      콜레라에서 스모그까지, 도시 수난사



                존 스노는 1831년에서 1832년 사이 뉴캐슬에 콜레라가 돌았을

              때 처음으로 그 병을 경험했다. 그리고 1849년에 그는 콜레라가 오






              392  힐링 스페이스
   22   23   24   25   26   27   2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