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P. 16
작하기 위해 우선 부모로부터 물리적으로 떨어지는 행위
를 말한다. 아동이 선택적으로 거부할 수 없는 단계다. 실
제 통과의례에서는 가면을 쓰거나 얼굴에 색칠을 해서 신
또는 악마의 모습으로 변한 부족의 어른들이 한밤중에 아
동을 ‘납치’해 부모와 강제로 격리하는 경우가 많다. 평소
에는 친근한 이웃이고 친척이던 사람들이 가면을 씀으로
써 신 또는 원형적 힘을 가진 존재로 탈바꿈하는 것이다.
갑작스럽고도 폭력적으로 이루어지는 분리 과정에서, 단
란한 가정의 편안함을 스스로 포기할 젊은이는 없을 거라
는 사실을 상기할 수 있다. 부모에게 의존해 따뜻하게 보
호받고 부양받는 삶을 영위하고픈 유혹은 강렬하다. 그러
나 (실제로든 비유적으로든) 그 상태에 머물러 있다면 영
원히 어린아이인 채로 성인으로 자라날 잠재력을 부정한
다는 뜻일 뿐이다.
그래서 두 번째 단계는 ‘죽음death ’이다. 아동은 좁
은 공간에 갇혀 어두운 터널을 지나 실제 또는 상징적 의
미의 암흑 속으로 던져진다. 분명 공포스러운 경험이지
만, 여기서 아이는 부모에게 의존해 살던 아동기의 ‘상징
적 죽음’을 체험한다. 집 안에서 누리던 안락함이 사라지
는 고통을 경험하는 것이다. “넌 다시는 집으로 돌아갈
수 없을 것이다.” 이는 순수의 상실이자 에덴동산처럼 낙
원으로 느끼던 아동기의 상실이다. 시인 딜런 토머스Dylan
1. 남자가 물려받은 것: 허상, 역할, 기대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