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8 -
P. 18

그에 따르는 책임 역시 전수되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여러 가지 종교적 진리를 전수했는데, 이는 젊은이들에게
                  영적인 기반을 선사해서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승되

                  는 전통의 한 부분으로 자리잡게 하기 위함이다. “우리가
                  믿는 신은 누구인가 ?”  “신은 어떤 공동체를, 어떤 율법
                  을, 어떤 윤리를, 그리고 어떤 영적인 재능을 우리에게 안

                  겨줬는가 ?” 통과의례를 거친 이들이 신비함이라는 맥락
                  을 만나면 집단의 일원이라는 정체성이 형성되고, 자신이
                  속한 더욱 거대한 체계를 감지하고, 젊은 영혼에 깊이를

                  더하게 된다.
                       다섯 번째 단계는  ‘시련ordeal ’이라는 말로 그 특징

                  을 정의할 수 있다. 이 단계의 내용은 문화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통과의례 대상인 소년이 가정의 안락과 편안에
                  서 격리되어야 한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뒤에서 더 상세

                  히 다룰 테지만, 현대인에게 아무 이유 없이 잔혹하게만
                  보이는 행위들은 실은 고통이 의식을 더 빨리 일깨운다

                  는 현명한 통찰에서 나온 것이다. 의식은 고통을 겪은 뒤
                  에만 생겨난다. 육체적이든 감정적이든 정신적이든, 어떤
                  형태의 고통도 겪지 않으면 과거의 낡은 제도와 체제에

                  계속 의존하고 안주할 수밖에 없다. 통과의례에 고통이
                  따르게 하는 두 번째 이유는, 소년이 곧 현실에서 겪게 될
                  삶의 혹독함을 미리 경험해보도록 하기 위함이다. 포경이




                                         1. 남자가 물려받은 것: 허상, 역할, 기대  35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