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5 -
P. 15

을 고려하더라도, 이러한 의례가 인간에게 무엇을 가져다
              줬는지는 곰곰이 생각해볼 만하다. 문화를 통해 발견하
              지 못한다면 스스로 찾아낼 수밖에 없지 않겠는가. 문화

              는 다양하며 지역마다 그 특유의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만,
              통과의례의 원형에 나타나는 단계는 문화와 지역을 막론
              하고 놀랍도록 서로 닮았다. 우리 선조들은 인격의 분리

              와 진화가 얼마나 중요한지 본능적으로 알았으며, 통과의
              례라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는 것을 집단적으로 파악했던
              것으로 보인다. 의례의 길이와 강도, 단호함은 아동기를

              진정으로 끝내고 성장해야 할 때 겪는 어려움과 정비례한
              다. 심리학적으로 볼 때 현대의 문화 속에서 제대로 된 분

              리와 성장을 경험한 사람은 거의 없으므로, 의례 경험의
              단계들을 한번 되짚어보는 게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다.
              다시 강조하지만, 문화를 통해 얻을 수 없는 것은 개인이

              스스로 찾아낼 수밖에 없다. 단지 모른다는 이유로 이 과
              제를 회피해서는 안 된다. 그랬다가는 성인으로 가는 발
              달 과정을 온전히 끝낼 수 없기 때문이다.

                   통과의례는 크게 여섯 단계로 요약된다. 각 단계의
              자세한 내용은 지역의 관습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단계

              의 구성 자체는 다양한 문화 유형 내에서 분명하게, 또는
              암시적 형식으로 나타난다.
                   첫 번째 단계는 ‘분리 separation ’로, 심리적 분리를 시




              32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