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1 -
P. 11
고, 그들이 맛보는 식초는 ‘삶의 본질’을 상징한다. 세
남자는 각각 유교의 시조인 공자孔子 , 불교를 창시한 석
가모니, 그리고 현재까지 전해지는 가장 오래된 노장사
상 책의 저자인 노자老子를 나타낸다. 공자는 못마땅한
표정이고, 부처는 씁쓸한 표정을 짓고 있으며, 세 번째
남자인 노자는 웃음을 띠고 있다.
공자는 삶이 조금 못마땅했던 모양이다. 공자는 현재
가 과거와 단절되어 있으며, 지상의 사람들이 나라를 다
스리는 방식이 우주의 통치법칙인 하늘의 법도에 어긋
난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공자는 조상에 대한 공경을 강
조하고 전통적인 의식과 기념식을 중요시했다. 전통적
인 의식이 열릴 때 ‘하늘의 아들’인 황제는 무한한 하늘
과 유한한 땅 사이를 연결하는 존재처럼 행동해야 한다.
유교사상에서는 정확한 규칙에 따라 연주되는 궁중음
악, 미리 정해진 걸음걸이와 행동과 대사가 결합되어 고
도로 복잡한 의식들의 체계를 형성한다. 모든 의식은 특
정한 시기에 특정한 목적을 가지고 거행된다. 공자에 관
한 기록에는 다음과 같은 말이 남아 있다. “돗자리가 구
겨져 있으면 스승님[공자]이 앉지 않을 것입니다.” 우
리는 유교사회에서 모든 일이 어떻게 진행됐는가를 이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