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P. 16
단체들이 설립되는 모습을 목격한 것도 한몫했다. 그런데도 사회에
서 발언권이 큰 목소리들은 두 사람이 호모 엠파티쿠스에 대해 무슨
말을 하려는지 들을 마음이 거의 없었다. 사람들에게, 특히 인간의
복지에 최소한의 관심밖에 갖지 않은 정치가들과 값싼 노동력으로
공장을 운영해야 했던 기업가들에게는 이기심에 관한 이야기가 훨
씬 더 편리했던 것이다.
공감 개념이 마땅히 받아야 할 관심을 받기 시작한 것은 20세
기 초반에 심리학이 하나의 과학으로 확립된 뒤의 일이었다. 영어
단어 empathy의 어원은 독일어 단어인 einfühlung인데, 문자 그대
로 ‘~ 속으로 들어가서 느끼다’라는 뜻이다. einfühlung은 19세기
에 지금은 잊힌 테오도어 리프스Theodor Lipps라는 독일 철학자(프로
이트는 그를 매우 찬양했다)라 예술작품과 자연 ‘속으로 들어가서
느낄’ 수 있는, 그리고 이성보다는 감정적으로 그것들에 반응할 수
있는 능력을 지칭하는 철학으로서의 미학 개념으로 사용하면서 대
중화되었다. 1909년에 미국 심리학자 에드워드 티치너 Edward Titchener
는 einfühlung에 해당하는 영어 단어를 가질 때가 되었다고 판단해
empathy라는 단어를 만들어냈다(이는 고대 그리스어 empatheia에
서 나온 단어로, in과 suffering을 합한 것이다). 그 뒤로 공감의 의미
는 일련의 변형을 거치면서 복잡한 언어학적 유산을 남겼는데, 이에
대해서는 좀 풀어서 설명할 필요가 있다.
심리학자들은 예술 영역에 속하던 그 단어의 용도를 재빨리 모
방의 한 형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바꾸었다. 1930년대의 한 인기 있
는 심리학 교재에는 봉을 넘어가는 장대높이뛰기 선수의 사진이 한
54 공감하는 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