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6 -
P. 16
처럼 미국의 많은 부유한 카운티에는 할렘 같은 가난한 지역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린 시절의 어려운 환경이 NBA에서 성공하는 데
도움이 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우리에게는 더 많은 단서와 더
많은 데이터가 필요하다.
그래서 나는 NBA 선수들의 가정환경을 조사했다. 이 정보는 보도
기사와 소셜 네트워크에서 찾았다. 이 방법에는 시간이 많이 들기 때
문에 나는 분석 범위를 1980년대에 태어난 흑인 NBA 선수 중 득점
순위가 100위까지인 선수로 제한했다. 미국의 평범한 흑인과 비교했
을 때 NBA 슈퍼스타들은 10대 엄마나 미혼모에게서 태어났을 가능
성이 약 30퍼센트 낮았다. 달리 말해, 흑인 최고 NBA 선수들에게 편
안한 가정환경은 성공에 큰 이점으로 작용했다.
그렇긴 하지만 카운티 수준의 출생 자료도, 한정된 표본의 선수들의
가정환경도 모든 NBA 선수들의 어린 시절에 관한 완벽한 정보가 되
지는 못한다. 때문에 나는 양친이 있는 중산층 가정이 홀어머니나 홀
아버지가 부양하는 가난한 가정보다 더 많은 NBA 스타를 배출한다고
확신하지는 못한다. 이 문제에 관한 자료가 많아질수록 더 나은 결과
를 얻을 것이다.
이후 나는 출신 배경에 관한 단서를 제공하는 데이터 포인트를 하
나 더 기억해냈다. 두 경제학자, 롤랜드 프라이어 Roland Fryer와 스티븐 레
빗 Steven Levitt의 논문에는 흑인의 이름이 사회경제적 배경을 암시한다는
10
내용이 있다. 프라이어와 레빗은 1980년대 캘리포니아의 출생증명
서를 연구해 아프리카계 미국인 중 가난하고 교육을 많이 받지 못한
1. 직감은 불완전하다 ‥ 0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