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P. 17

에게 가르치려던 것이다. 소크라테스는 아테네 거리를 거닐면서 마

                       주치는 모든 이들과 대화를 나누었다(당시 아테네는 인구가 적어서
                       시민들 대부분이 서로 아는 사이였다). 그리고 상대가 무엇을 믿는

                       지, 무엇에 가치를 두는지, 삶에서 무엇을 추구하는지 알아냈다. 뒷

                       날 아테네 시민들이 그를 불경죄로 재판에 회부했을 때, 소크라테스
                       는 이렇게 말했다. “내가 거리를 다니면서 젊은이든 노인이든 상대

                       를 가리지 않고 설파하려던 것은 몸이나 재산만 돌보지 말고 영혼을
                                                                       7
                       되도록 최선의 상태로 만들기 위해 노력하라는 얘기였소.”  점잖고
                       도 유머러스하게 자신을 낮추면서, 소크라테스는 사람들이 자기 삶
                       의 철학을 들여다보고 냉정하게 생각해보도록 이끌었다. 소크라테

                       스와 대화를 나누는 것은 지극히 평범한 경험이었지만, 사람들은 그

                       와 얘기를 나누기 전과는 전혀 다른 사람이 되었다. 한마디로, 깨어
                       났다.

                          인지행동치료는 이런 ‘소크라테스적 방법론’을 새롭게 창조하
                       여 스스로에게 질문하는 기술을 가르친다. 인지행동치료를 받을 때

                       는 우리가 흔히 상상하듯 소파에 누워서 혼잣말하듯 주절주절 이야
                       기하지 않는다. 그보다는 의자에 등을 세우고 앉아서 치료사와 마주

                       보고 대화를 나눈다. 치료사는 우리가 무의식적으로 지닌 믿음을 찾

                       아내고, 그 믿음이 어떻게 우리의 감정을 형성하는지, 그 믿음이 이
                       치에 맞는지 알아보기 위한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도록 도와준다.

                       그렇게 우리는 소크라테스가 되는 법을 배워서, 부정적인 감정이 발
                       목을 잡을 때면 스스로 ‘내가 지금 현명하게 반응하고 있나?’ ‘이 반

                       응은 합리적일까?’ ‘더 현명하게 반응할 수 있었을까?’라고 묻기에




                                                 1. 소크라테스가 권하는 삶에 질문을 던지는 기술    31
   12   13   14   15   16   17   18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