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39 -
P. 39
험이 쌓일수록 더 정교한 원칙[‘이미 팟에 돈을 많이 집어넣은 플레
이어를 상대로 함부로 블러프하면 안 되지만 상대방이 플러시 드로우
flush draw(여기서 드로우는 어떤 핸드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상태–옮긴이)
인데 플러시가 완성되지 않은 것 같을 때는 예외다’]이 생긴다.
통계 데이터에서 결론을 도출하려면 분석과 추상화는 필수적 과정
이다. 현실세계는 복잡다단하기 때문에 먼저 분석을 통해 잡음을 제
거하고 문제를 더 작은 성분들로 해체해야 한다. 이어서 추상화를 통
해 필수적 특징과 관계만 남은 모델의 형태로 세계를 재조립한다. 예
를 들어 위의 바비큐 전문점에서 8월에 가격을 인상하고 매출 추이
를 봤더니 놀랍게도 매출이 늘었다고 해보자. 어떻게 된 일일까? 혹
시 새로 바꾼 시즈닝 때문일까? 가능성이 전혀 없지는 않다. 하지만
그보다는 8월에 텍사스대학교 학생들이 개강을 앞두고 오스틴으로
복귀하면서 매출이 증가했을 공산이 크다. 이때 과거의 매출 패턴을
통계적으로 분석하면 진짜 이유가 드러날 수 있다. 물론 말처럼 쉽지
는 않고 여러모로 분석이 엇나갈 수 있다(그것이 《신호와 소음》의 주
제이기도 하다). 하지만 강의 상류에 속하는 다분히 철학적인 직종을
포함해 강에 존재하는 거의 모든 직종은 어떤 식으로든 모델 구축을
시도한다.
인지군의 마지막 항목인 ‘디커플링decoupling’은 아마 조금 생소할
41
것이다. 디커플링은 철학적 사고나 정치적 사고에 활용되는 것과
동일한 인지 작용이다. 데이터과학자이자 저술가인 세러 콘스탄틴
Sarah Constantin은 “맥락을 차단하는 능력으로서 (…) 종합적 사고의
반대 개념이다. 다시 말해 분리하고, 추상적으로 보고, 일부러 반대
42
의견을 제시하는 능력이다” 라고 설명한다. 심리학자 키스 스타노
비치 Keith Stanovich의 연구에서 디커플링은 논리적이고 통계적인 사고
0장. 서문 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