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40 -
P. 40
43
능력의 검사 점수와 상관이 있다고 나타났는데, 이 논리적이고 통
계적인 사고능력은 강에서 중시되는 지적 능력이기도 하다.
나는 디커플링이 ‘그래, 하지만’이라고 말하는 성향이라고 생각한
다. 입에 착 붙는 예를 제시하면 이런 식이다. 44
그래, 나는 동성결혼에 관한 칙필레 CEO의 견해에 동의하지 않
45
아. 하지만 칙필레의 치킨버거가 겁나 맛있긴 해.
이것이 디커플링이다. 여기서 화자가 칙필레에 가서 햄버거를 사
먹겠다는 말을 하고 있다고 장담할 수는 없다. 다음 문장에서 맛은 있
지만 불매 중이라고 말할지도 모른다. 하지만 CEO의 정치관과 햄버
거의 품질은 아무 상관이 없다고 말하고 있으니 디커플링이다. 강사
람들에게는 이런 사고방식이 자연스럽다. 그렇지만 대부분의 사람에
게는 정치를 논할 때 이런 식으로 사고하는 게 전혀 자연스럽지 않다.
특히 미국의 좌파는 맥락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화자의 정
46
체성, 생각의 역사적 출처 등을 근거로 맥락을 더하는 경향이 강하
다. 생각에 맥락을 더하는 경향을 강하게 보이기는 언론도 마찬가지
다. 《뉴욕타임스The New York Times》는 더 이상 팩트의 집합체가 아니
라 벤 스미스Ben Smith의 표현을 빌리면 “훌륭한 서사의 관능적 집합
47
체”가 되었다. 이런 점에서 ‘정치적 인간’과 강사람은 서로를 껄끄
럽게 여긴다.
다음은 ‘성격군’이다. 딱 보면 무슨 의미인지 알 것이다. 강사람들
은 시장을 이기려고 한다. 스포츠베팅의 경우, 하우스가 무조건 베팅
액의 일부를 가져가기 때문에 평균적 플레이어는 손해를 본다. 따라
서 대세를 따르면 결국 빈털터리가 된다. 투자의 경우는 사정이 조금
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