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7 -
P. 27
되었습니다.
현재 트럼프는 감세와 더불어 시리아 공격 등으로 국방예산을 늘리고 있
습니다. 이에 따른 재정적자와 정부부채의 증가는 당연한 수순입니다. 어
쩌면 트럼프는 레이건과 부시의 뒤를 이어 미래에 찾아올 경제위기의 씨앗
을 뿌리고 있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여러 난관을 극복해야 하는 트럼프
하지만 트럼프가 자신의 주장을 현실적으로 실현할 수 있을지는 아직 미
지수입니다. 특히 중국과의 무역전쟁은 미국 입장에서 질 수 없는 싸움이
지만 미국 기업의 주가에도 악영향을 미쳐 트럼프의 재선에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미국은 상황에 따라 중국을 강하게 압박하기도 하고
압박의 강도를 줄이기도 합니다. 환율조작국 지정과 철회가 대표적입니다.
또한 법인세 인하 역시 의회를 통과해야 하므로 트럼프가 주장하는 15%
수준으로는 내려가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트럼프의 모든 공약이 이루어지는 것은 순탄치 않겠지만 현실적으로 얼
마나 수용이 될지, 어느 정도로 타협이 될지에 따라 앞으로 세계경제가 변
화할 것은 분명해 보입니다. 여전히 트럼프의 말과 행동에 이목이 집중될
수밖에 없는 이유입니다.
55
첫째마당┃미국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