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5 -
P. 25
크게 늘지 않으므로 경상수지 적자를 개선하기 어려워집니다.
게다가 당시 미국은 달러가치 하락으로 인해 물가가 올라가기 시작했습
니다. 자국의 통화가치가 싸지면 상대적으로 해외에서 들여오는 수입 원자
재 가격이 상승하므로 물가가 올라갑니다. 달러가치가 더 하락한다면 물가
는 더 올라갈 것이 뻔했습니다. 결국 미국은 1987년 “더 이상의 달러가치
하락은 각국의 경제 성장을 저해한다.” 라고 선언하며 달러가치 하락을 막
기 위한 루브르합의를 단행했습니다. 루브르합의는 플라자합의의 실패를
인정한 것이나 다름없었습니다.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으로 위안화가치가 올라간다면 플라자합의 때
처럼 중국 경제가 침체될 것입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미국의 무역적자가
해소되어 경상수지 적자가 개선될 것이라는 보장도 없습니다. 오히려 경상
수지는 개선되지 않고 물가만 올라가 미국 경제도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미국이 원하는 바는 이루지 못한 채 다른 나라들의 경제만 희생되는 것입
니다.
이러한 점은 재선을 앞두고 있는 트럼프에게도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중국과의 환율 전쟁이 미국 기업들의 실적 악화, 주가 하락으로 이어져 재
선에 악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은 결국 2020년 1월, 5개월 만에
중국의 환율조작국 지정을 철회하였습니다.
트럼프의 인프라 투자와 감세정책
트럼프의 또 다른 정책은 인프라 투자와 감세정책입니다. 인프라 투자를
53
첫째마당┃미국 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