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3 -
P. 23

26%에서 59%로 대폭 올린 것입니다. 이에 곧 유                스무트 할리 관세법
                                                              (Smoot-Hawley Tariff Bill)
                 럽 국가들도 경쟁적으로 관세를 높여 보호무역
                                                              생산 감소와 실업 급증으로 붕괴
                 을 강화했습니다.                                    된 내수 기반을 회복하기 위해 수
                                                              입 관세율을 최고 400%까지 올
                   그러나 그로 인해 이익을 얻은 나라는 없었습                   릴 수 있도록 하는 보호관세법.
                                                              법안을 주도한 스무트 할리 의원
                 니다. 기업들이 제품을 많이 만들어도 높은 관세                   의 이름을 따서 스무트 할리 관세
                                                              법이라 이름 붙였다.
                 때문에 수출이 어려워 팔리지 않았기 때문입니
                 다. 결과적으로 공급 과잉만 심해져 대공황이 더 악화되었습니다.

                   최근 중국은 미국이 중국 제품에 45%의 관세를 부과하면 애플, 보잉 등
                 미국 기업들을 강력히 제재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우리나라에 사드배치

                 로 인한 보복 조치를 했던 것을 보면 현실성 없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중국의 환율이 마음에 들지 않는 트럼프



                   트럼프는 취임 후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습니다(2019년 8월). 환율

                 조작국이란 자기네 나라의 통화가치를 의도적으로 내려 미국에 무역적자
                 를 가져다주는 나라를 말합니다. 환율조작국으로 지정되면 무역협정 협상

                 에서의 압력 등 불리한 제재가 가해집니다.
                   사실 미국이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려면 ① 대미(對美) 무역흑자 200억

                 달러 이상, ② GDP 대비 3% 이상의 경상수지 흑자, ③ GDP 대비 2% 이상

                 의 외환 순매수 여부를 모두 충족해야 합니다. 하지만 중국은 이 조건 중 ①
                 번만 충족했습니다. 그런데 이 조건들이 절대적이지는 않기 때문에 트럼프

                 는 강력한 의지로 중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했습니다.






                                                                             51
                                                                     첫째마당┃미국 경제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