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17 -
P. 17

은 아닌 듯해서 상담을 요청합니다.



                       짧은 글에서 아이가 산만하다는 걸 알고는 있지만, 한편으로는

                    아이를 문제아로 보는 담임 선생님에 대한 약간의 원망과 서운함

                    그리고 부모로서 잘못된 양육을 한 것은 아닌지 하는 자책감이 느
                    껴집니다.

                       검사 결과, 이 아이는 ADHD 진단 기준을 훌쩍 넘어서는 심각

                    한 수준이었는데 부모는 검사 결과를 머리로는 이해하면서도 온
                    전히 받아들이기 힘들어했습니다. 이렇듯 대부분 부모는 아이의

                    증상을 객관적으로 알기 힘든 상황에서, 혼란스러운 마음에서 벗

                    어나기 위해 반신반의하며 내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부모가 아이의 증상을 객관적으로 판단하기 어려운 이유는 무

                    엇일까요? 산만함, 과잉 행동과 같은 증상은 커가며 점점 뚜렷해
                    지지만, 오랜 시간에 걸쳐 서서히 진행되기 때문입니다. 의식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반복해서 몸을 움직이거나 소리를 내는 틱 증상

                    의 경우는 증상이 갑자기 나타나 눈에 띄기 때문에 문제를 바로 알
                    아채기 쉽습니다. 하지만 서서히 뜨거워지는 물속에서 자기 몸이

                    익어가는 것을 모르는 개구리처럼, 주의력과 산만함의 문제는 오
                    랜 시간 서서히 진행되어 가족들이 심각한 상황에 이르러서야 알

                    아채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부모가 아이의 ADHD 증상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것




                                                                         27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